모하비사막서 지난주 발생…열기·바람에 6m 불기둥 이루며 확산
진화 어려움에 일부 지역 대피령…사막 상징 '조슈아나무' 큰 피해

[ESG경제=홍수인 기자] 폭염으로 몸살을 앓고 있는 미국의 모하비 사막에서 산불이 발생해 서울 면적의 절반 넘게 태우며 계속 확산하고 있다.
2일(현지시간) 외신에 따르면 지난달 28일 캘리포니아 주 남쪽 모하비 국립공원 내 뉴욕 산맥에서 시작된 산불은 지금까지 331㎢를 집어삼켰다. 서울 전체 면적(605.24k㎡)의 절반을 넘는 면적이다.
'요크 파이어(York Fire)‘라는 이름이 붙은 이 산불은 주 경계를 넘어 인근 네바다주로 번지고 있으며, 올해 캘리포니아주에서 발생한 산불 중에서 가장 큰 산불이다.
일부 지역에 주민 대피령이 내려진 가운데 소방 당국은 뉴욕 산맥에서 산불을 30% 진화했다고 밝혔으나, 예측할 수 없는 바람 등으로 여전히 완전 진화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모하비 국립 보호구역은 이번 산불이 격렬한 열기와 거센 바람이 만나면서 '불 토네이도(fire tornado)’라고 하는 불기둥을 형성하기도 했으며, 일부 지역에서는 6m가량 높이의 불기둥이 목격되기도 했다.

‘요크 파이어’는 모하비 사막 전역으로 번지면서 이 사막의 상징인 조슈아 나무(Joshua tree)도 위협하고 있다. 상록수인 조슈아 나무는 8m 이상 자라며 150년 이상 살 수 있다.
지난 2020년에도 인근 지역에서 발생한 산불로 130만 그루의 조슈아 나무가 파괴됐는데, 전문가들은 "조슈아 나무가 다 타버리면 옛 모습을 되찾는 데는 평생이 걸릴 것"이라고 우려하고 있다.
현재 미 전역에는 덥고 건조한 상태가 지속되면서 11개 주에서 56개의 대형 산불이 발생해 4,000㎢ 이상이 불에 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