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열보급 활성화 종합계획' 수립…2030년까지 1GW 보급
‘지열에너지 도시 서울’ 위해 권역별 랜드마크·조례 개정

ESG경제=김강국 기자] 서울시가 송파구 가락농수산물종합도매시장에 국내 최대 지열 설비를 설치한다. 또 5대 권역별 지열 선도거점을 구축하고 공공부문 지열 의무화를 도입하는 등 2030년까지 지열에너지를 원전 1기 설비용량에 해당하는 1GW 수준으로 보급해 '지열에너지 도시 서울'을 만든다.
시는 최근 이러한 내용의 '지열보급 활성화 종합계획'을 수립해 21일 발표했다. 이번 계획에 따라 전체 신재생에너지 중 지열 비중은 올해 6월 기준 26.4%에서 2030년 41.5%로 확대된다.
서울시는 당초 신재생에너지 보급을 2005년 5MW에서 올해 6월 1,052MW로 크게 확대됐으나 태양광·연료전지·풍력 등은 날씨, 예산, 경제성 부족 등 여러 가지 한계를 노출했다.
서울시는 이에 따라 땅속의 일정한 온도를 활용해 효율적이면서도 환경친화적으로 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는 지열에너지로 전환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보고 종합 대책을 마련했다.
우선 가락시장에 국내 최대 규모인 23MW의 지열 설비를 도입해 건물 냉·난방 90% 이상을 지열로 공급한다. 가락시장 현대화사업과 연계해 내년 상반기 중 관리동·채소2동에 7.9MW 규모의 지열 설비를 1단계 준공하고 2∼3단계 공사로 2030년 11월 중 채소1동·수산동·과일동에 15.5MW를 추가한다.
권역별 거점, 가락시장·용산국제업무지구·서울아레나·서울혁신파크 등 검토
권역별 지열 랜드마크는 가락시장(동남권) 외에 용산국제업무지구(도심권), 서울아레나(동북권), 서울혁신파크(서북권), 공공형 지식산업센터 복합개발사업지(서남권)가 검토되고 있다.이와 함께 연면적 1,000㎡ 이상 신·증축, 개축 공공시설에는 지열 설비 의무화가 도입된다.
신재생에너지 공급 의무비율(올해 기준 32%) 중 50% 이상을 우선 적용할 방침이다.
이외에도 서울주택도시공사(SH공사) 고덕강일지구 내 청년주택은 지열을 통한 '제로(0)에너지 아파트‘로 공급한다. 서울공공병원, 공공재활병원 등 의료시설에도 2029년까지 지열을 도입한다.
민간 참여를 유도하고자 내년 중 '서울형 지열 인센티브'를 신설해 설치비를 지원한다. 민간 건축물의 지열 생산량에 대해 보조금을 지원하는 방안도 검토한다.
서울시는 관련 정책들이 실현되면 총 1GW의 지열 보급이 이뤄질 것으로 전망했다. 원자력 1기에 맞먹는 지열 1GW를 보급하면 온실가스 51만8,000tCO₂를 감축할 수 있으며, 이는 전기차 32만3,839대를 보급하는 것과 맞먹는 효과를 발휘한다.
이인근 서울시 기후환경본부장은 "지열은 사계절 안정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친환경에너지인 만큼, 지열을 중심으로 시의 신재생에너지 보급률을 지속해서 끌어올려 2050 탄소중립을 달성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 서울시, '모두를 위한 기후동행' 주제로 31일 국제기후환경포럼 개최
- 서울 국제 기후환경 포럼 개최
- 서울시. 약자동행지수 개발…오세훈 "시장 바뀌어도 정책 지속"
- 서울시, 지자체 최초로 '대한민국 ESG 친환경대전' 참가
- 서울시, 성수동에 세계 최대 창업허브…양재동엔 AI 테크시티
- 서울시, ESG 행정 앞장…'기후예산제' 전면 시행
- 서울 기후테크 콘퍼런스 28일 개최..."기후위기 진짜 해법은 기술"
- 2050 탄소중립 실현하려면…2030년 전기료 35∼36% 올라야
- 서울시, 탄녹위·산자부·국토부와 건물 온실가스 감축 '녹색전환 '협력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