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드만삭스, 전기차 수요 증가 예측…한미 관련 기업 주식 추천

미국의 대형 투자은행인 골드만삭스는 2년 후인 오는 2025년경까지 전기차 배터리 가격이 40%가량 급락해 내연기관 차량과 제조원가가 비슷해지며, 이는 전기차 수요를 촉발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23일 야후파이낸스에 따르면 골드만삭스는 관련 보고서에서 배터리 가격이 2022년부터 2025년까지 40%가량 하락할 것으로 전망했다.
가격 하락의 가장 큰 요소는 주로 리튬인산철(LFP)이나 리튬니켈망간코발트산화물(NMC)과 같은 리튬 산화물 재료로 구성되는 배터리 양극재 부분이다.
골드만삭스 분석에 따르면 2022년 배터리의 기본 가격은 kWh당 165달러 수준이다. 표준 크로스오버 전기차(예컨대 테슬라 모델Y·후륜구동)의 경우 일반적으로 60kWh 용량 배터리를 사용하므로 2022년 배터리 팩 가격은 9,900달러 정도다.
배터리 가격이 2025년에 40% 하락하면 kWh당 99달러가 되고, 동일한 배터리 팩 가격은 5,940달러가 된다. 골드만삭스는 이후에도 가격 하락은 이어지면서 2030년에는 kWh당 72달러가 될 것으로 예측했다.
이런 추세라면 2020년대 중반 정도에는 보조금 없이도 전기차가 가솔린 자동차와 제조원가가 비슷해지며 판매량도 늘어난다는 것이다.
골드만삭스는 "배터리 가격 하락은 전기차 가격 경쟁력 강화와 수요 증가를 불러와 전기차 배터리 분야 시장 확대로 이어질 수 있다"고 예상했다.
골드만삭스는 다만 이런 상황이 지역에 따라 달라질 것으로 내다봤다.
NMC계 배터리를 주로 사용하는 미국-한국 시장에 주력하는 한미 배터리 체인 기업들이 좋다면서 LG화학, LG에너지솔루션, 삼성SDI, 파나소닉, 테슬라를 최우선으로 추천했다.
반면 LFP 배터리에 집중하는 중국-유럽 시장의 경우 중국 배터리 생산업체인 CALB와 고션은 배터리 잉여 물량 수출이 어려울 것이라며 '매도' 의견을 제시했다.
[ESG경제=연합뉴스]
관련기사
- 전기차 배터리 재활용 시장을 잡아라...스타트업 몰리고 투자 급증
- 배터리업계 속도 조절…SK온은 감산, LG엔솔은 합작 철회
- 中 전기차시장, 경쟁 심해지면서 이미 ‘레드오션’ 됐다
- 삼성SDI, 현대차와 첫 배터리 공급계약…"전략적 협력 본격화"
- '은퇴’ 전기차 배터리, 태양광 발전소에서 ESS로 제2의 수명 찾다
- 포스코, 광석리튬서 수산화리튬 생산 국산화…광양에 공장 준공
- 전기차 충전기산업, 2030년 세계점유율 1.2→10%로
- 프랑스 이어 독일도 전기차 보조금 중단…“예산이 없어요”
- ‘카투홈, 홈투카’… 현대차, 삼성과 손잡고 주거-이동공간 연결성 강화
- 테슬라 ‘엎친 데 덮친 격’... 실적 부진에 ESG 논란 휘말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