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생에너지 서약과 메탄 감축 약속 실천하면
넷제로 목표와 현 배출량 격차 30% 축소 기대

[ESG경제=이신형기자] 국제에너지기구(IEA)는 10일 아랍에미레이트(UAE) 두바이에서 열리는 제28차 유엔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8)에서 나온 재생에너지 서약과 정유업계의 메탄 감축 약속이 완전히 이행되면 2030년 4기가톤의 온실가스 감축 효과가 발생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IEA는 이는 기온 상승을 1.5도로 억제하기로 한 파리협약의 목표 달성에 필요한 온실가스 감축량과 현재 배출량 추세의 격차(emission gap)를 약 30% 줄이는 효과라고 설명했다.
오는 2030년까지 재생에너지 발전량을 3배 확충하고 에너지 효율을 2배로 개선하기로 한 서약에 서명한 나라는 8일 현재 약 130개국이다. IEA에 따르면 이들 나라의 화석연료 사용에 따른 이산화탄소 배출량은 전 세계 배출량의 40%를 차지하고 GDP는 전 세계의 56%를 차지한다.
이와 함께 이번 COP28에서는 늦어도 오는 2050년까지 석유와 가스 시설에서 발생하는 메탄 배출량을 넷제로화하고 2030년까지 일상적으로 가스를 태우는 것을 금지하는 한편, 업스트림의 메탄 배출량을 넷제로에 가깝게 감축한다는 내용의 ‘석유와 가스 탈탄소 헌장(Oil and Gas Decarbonisation Charter)’이 채택됐다.
COP28 의장국인 UAE와 사우디아라비아가 주도한 이 헌장에 50개 기업이 서명했다. 이들 50개 기업은 전 세계 석유 생산의 40%, 석유와 가스 합산 생산량의 35%를 차지한다.
(표) COP28 재생에너지 서약과 메탄 헌장의 2030년 온실가스 감축 효과

관련기사
- 여행 제한해 기후변화 막자?...‘탄소 여권’ 도입 제안 눈길
- [COP28] 400개 기관이 ISSB ESG 공시기준 지지
- COP29, 산유국인 아제르바이잔에서 내년 11월 열린다
- [COP28] GDA 출범...한국은 '오늘의 화석상' 불명예
- [COP28] 22개국 원전 3배 확대 서약...목표 달성에 난관 수두룩
- "여성이 기후변화에 더 큰 고통"...UN여성기구, 기후정의에 젠더 관점 주창
- [COP28] 기후클럽 공식 출범...개도국 탈탄소화 지원
- 유엔 SDGs에 초점 맞춘 글로벌 금융 이니셔티브 발족
- “질서있는 탄소중립, 전환 편익이 비용 압도”...성장률 7%p 높이는 효과
- [COP28] 폐막 합의문에 ‘화석연료 단계적 퇴출’ 조항 빠져
- [COP28] 국제 탄소시장 개설 위한 세부 지침 합의 불발
- IEA "석탄 수요, 올해 85억t 정점 찍고 내년부터 감소"
- COP28 개최국 UAE "화석연료 계속 투자"
- OPEC 국제 원유시장 점유율 '뚝뚝'..."올해 27% 밑돌 전망"
- IEA, ‘23년 에너지부문 메탄 배출량 증가...감소 추세 전환 임박
- 美 EPA, 석유 및 천연가스 기업에 메탄 배출량 공개 강화
- COP29, 기후금융이 뜨거운 감자…16개 그룹 의견 제각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