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소포집 인센티브 정책, 올해 말 공식 발표 예정
인도, 재생에너지 확대 불구 석탄 의존도 증가
IEA, “CCUS 도입 가속화되고 있으나 필요 수준의 3분의 1 불과”

[ESG경제=김현경 기자] 세계 2위 석탄 생산국 인도가 석탄을 계속 소비하기 위해 탄소포집 기술(CCUS)보급 정책을 마련할 예정이라고 블룸버그가 3일 보도했다.
해당 정책엔 기업이 탄소를 포집해 재활용하거나 지하에 저장하는 데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내용이 담겨 있다고 인도 정부의 에너지 정책 고문 라즈나트 람은 블룸버그 기자에 말했다. 인도 총선거에서 현 정권이 승리한다면 해당 정책은 올해 말 공식 발표될 예정이다.
람 고문은 “전력 부문의 탄소배출량은 인도 총 배출량의 42%를 차지한다”며 인도 정부는 “탄소 포집을 통해 그 중 70%를 포집하고 재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고 밝혔다.
아울러 그는 인도의 전력 수요 급증에 부응하고 대규모 정전을 피하기 위해선 공격적인 재생에너지 확대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며 “풍부한 석탄을 보유하고 있는 인도는 이를 지속가능한 방식으로 사용하고 싶다”고 말했다.
각국의 기후정책을 분석하는 비영리단체 클라이밋 액션 트래커(CAT)는 2070년 탄소중립 달성을 내건 인도를 두고 “신규 재생에너지 발전 용량에서 인도는 2022년 전 세계 4위를 확보하는 등 상당한 진전을 이루었지만 여전히 화석연료 의존도는 증가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인도 당국 석탄 증산 추진... 전 세계 CCUS 도입은 한참 못 미쳐
CAT는 지난 12월 업데이트한 분석에서 “인도의 최신 발전 계획에는 향후 5년 동안 상당한 신규 석탄 발전 용량 추가가 포함되어 있고, 정부는 국내 석탄 증산을 추진 중”이라며 파리 인도의 기후 목표 설정과 그 조치는 파리 협약 목표 달성에 "매우 불충분”하다고 지적했다.
전 세계적으로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CCUS의 실질적 효과를 기대하기 위해선 아직 더 많은 규모의 투자가 이뤄져야 하는 실정이다. 국제에너지기구(IEA)는 지난해 7월, CCUS를 산업 공정, 연료 변환 및 발전에 적용하는 약 40개의 상업 시설이 이미 운영되고 있으며 500개 이상의 프로젝트가 개발 단계에 있는 등 CCUS 도입의 추진력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러나 IEA는 CCUS 도입 실적은 2050년 탄소중립 달성을 위해 필요한 연간 포집량의 약 3분의 1 수준에 불과하다고 지적했다.
<표: 현재 가동 중이거나 계획된 대규모 탄소포집 프로젝트 용량과 2030 Net Zero 시나리오와의 격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