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환경연구원 박진한 연구위원 논문서 분석
전국 지자체 폭염 폭수 대응 예산 연 1346억원
서울 강남, 경남 남해, 충남 서산 등을 폭우에 위험

[ESG경제=강찬수 환경전문기자] 폭염으로 밭에서 일하던 농민들이 쓰러지고, 폭우로 침수된 지하도로·지하주차장·반지하주택에서 시민이 목숨을 잃는 기후 위기 시대.
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가 철저한 재해 예방 대책, 기후적응 대책을 세워야 하는 상황이다. 이런 가운데 폭염에는 전남 여수시가, 폭우에는 경북 문경시가 가장 잘 대비하고 있다는 평가가 나왔다.
이들 지자체는 해당 지역의 폭염·폭우 위험도와 비교했을 때 관련 대책 수립과 예산 투입 등에 적극적이어서 실제 기후위험도를 낮췄다는 평가를 받았다.
한국환경연구원(KEI) 국가기후위기적응센터 박진한 부연구위원은 한국기후변화학회지 최근호에 발표한 ‘기후위험 대응을 위한 지자체 적응 평가체계 개발 및 적용’이라는 논문에서 이 같은 평가·분석 결과를 공개했다.
박 위원은 1985~2014년 30년 기상관측 데이터를 활용, 전국 229개 기초지자체(세종시 포함)의 현재 기후위험도를 추정했다. 지자체의 적응 대책은 2022년에 시행한 대책과 관련 예산을 바탕으로 분석했다.
폭염 위험 높은 곳은 대구·전주·청주
논문에서 기후 위험도(Risk)는 위해성(Hazard)과 노출성(Exposure)을 곱해서 산출했다.
폭염위험도는 일 최고 체감기온 33℃ 이상이 2일 지속되는 횟수를 위해성으로, 지역 인구수를 노출성으로 설정해 계산했다. 폭우위험도는 일강수량이 80㎜ 이상인 날 수를 폭우에 대한 위해성으로 설정해 산정했다(노출성은 고려하지 않음).
각 위험도는 0에서 1까지로 표준화했고, 표준화 값 0.2 단위로 5개 등급으로 구분했다. 분석 결과, 폭염에 대한 위험도가 가장 낮은 1등급인 지자체 수는 179개였고, 2등급은 30곳, 3등급 11곳, 4등급 4곳(경기 용인시·수원시, 대구 동구, 경북 포항시), 위험도가 가장 높은 5등급은 5곳(대구 달서구·북구·수성구, 전북 전주시, 충북 청주시)으로 나타났다.
폭우 위험도의 경우 위험도가 낮은 1등급은 45곳, 2등급 73곳, 3등급 106곳, 4등급은 1곳(경남 산청군), 5등급 4곳(경남 남해군·거제시, 경북 경주시, 제주 서귀포시)으로 나타났다.
![30년 동안 관측한 기상데이터만으로 작성한 지자체별 기후위험도. (a)는 폭염위험도, (b)는 폭우위험도. 각각 표준화를 거쳐 5개 등급으로 구분했다. [자료: 한국기후변화학회지, 2023]](https://cdn.esgeconomy.com/news/photo/202402/5805_8024_1919.png)
박 위원은 “경기 남부지역과 충북 북부지역, 대구와 인근지역, 포항, 경주, 창원 등이 폭염 위험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서울을 비롯한 경기 북부지역, 남해안 지역, 제주도 등은 폭우 위험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지적했다.
폭염·폭우 대응 예산 1346억원
박 위원은 2022년 기준 국내 229개 지자체에서 이행 중인 폭염과 폭우 대응 예산을 분석했다. 예산 자료는 기후 적응 대책 평가에서 각 지자체에 공통적으로 적용이 가능한 자료다.
폭염 관련 적응대책으로는 총 363개 대책, 약 655억 7700만 원의 예산을 집행했다. 지자체당 평균 1.59개의 대책, 대책당 평균 약 1억 3300만 원의 예산을 집행한 셈이다.
폭우 관련 적응대책에서는 총 164개 대책에 약 689억 8900만 원의 예산을 집행했다. 지자체당 평균 0.71개, 대책당 평균 약 2억 2500만 원을 집행한 꼴이다.
예산 자료는 0~1의 값을 갖도록 표준화했고, 0.2 단위로 1~5등급 구분했다. 가장 많은 예산을 투입한 지자체는 5등급으로 분류됐다.
폭염 예산을 등급화한 결과, 전남 여수시가 유일하게 5등급으로, 충북 충주시와 충남 청양군 2곳이 4등급으로 평가됐다. 3등급은 경북 영천시와 경남 김해시 2곳이었고, 2등급은 전남 곡성군, 경남 산청군, 서울 송파구, 경기 안산시, 대구 중구 5곳이었다.
예산 투자가 적은 나머지 219 지자체는 표준화 값 0.2 이하의 1등급으로 나타났다.
폭우 예산과 관련해 5등급은 경기 부천시와 경북 문경시 2곳, 4등급은 울산 울주군과 경남 거창군 2곳, 3등급은 서울 서대문구과 충북 영동군, 전남 장성군, 전북 임실군 등 4곳, 2등급은 대전 유성구와 전북 군산시, 전북 부안군, 경기 파주시 등 4곳이었다.
이들 12개 지자체를 제외한 나머지 217개 지자체는 표준화 값 0.2 이하의 1등급으로 분류됐다.
위험도-예산에 따라 4유형으로 구분
박 위원은 기후위험도와 예산 투자를 표준화해서 얻은 값을 바탕으로 각 지자체의 위치를 4사분면에 나눠 표시했다.
![폭염위험도와 예산 투자를 바탕으로 한 지자체 구분. 가로축은 폭염 위험도를, 세로축은 예산 투자 정도를 나타낸다. 2사분면에 표시된 지자체(여수시 등)는 폭염 위험도가 높지 않지만, 관련 투자가 많아서 ‘안전’한 곳으로 분류됐다. [자료: 한국기후변화학회지, 2023]](https://cdn.esgeconomy.com/news/photo/202402/5805_8026_303.png)
▶오른쪽 위 1사분면에는 기후위험도도 높고 적응대책도 잘 이행하는 지자체(주의 필요) ▶ 왼쪽 위 2사분면은 기후위험도가 낮지만 많은 대책을 이행 중인 지자체(안전) ▶왼쪽 아래 3사분면은 기후위험도가 낮고, 적응대책도 이행하지 않는 지자체(주의 필요) ▶오른쪽 아래 4사분면은 기후위험도가 높지만 적응대책을 충분히 이행하지 않는 지자체(위험)가 분포하게 된다.
4사분면을 나누는 기준선은 표준화 값 0.2를 사용했다.
폭염위험도와 관련해 지자체를 분류한 결과, 2사분면에 위치한 전남 여수시 등은 폭염에 잘 대응해 비교적 안전한 것으로 평가됐다.
반면, 대구 달서구·북구·수성구·동구, 전북 전주시, 충북 청주시 등 4사분면에 위치한 지자체들은 폭염위험도가 상대적으로 높은데도 불구하고 적응대책이 부족한 지자체들이다. 폭염과 관련된 적응대책의 보완이 즉시 필요한 상황이다.
1사분면에 위치한 경남 김해시, 서울 송파구, 경기 안산시의 경우 폭염위험도가 상대적으로 높지만, 적응대책도 비교적 잘 이행하고 있다.
3사분면에 위치한 지자체들은 현재 폭염위험도가 낮아서 당장은 큰 문제가 없지만, 미래 기후 변화 양상에 따라 위험해질 수 있는 만큼 향후 폭염 추세를 주의 깊게 살펴보고 대응해야 할 것으로 지적됐다.
서울 강남구 등 폭우에 위험
폭우위험도와 관련한 지자체 유형화한 결과, 충북 영동군과 전북 군산시 등 2사분면에 위치해 상대적으로 안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경남 남해군과 거제시, 산청군, 경북 경주시, 제주 서귀포시, 강원 평창군, 전남 광양시, 서울 강남구, 충남 서산시와 부여군, 경기 안성시 등 4사분면에 위치한 지자체는 상대적으로 폭우에 위험한 지자체로 분류됐다.
1사분면에 위치한 경북 문경시, 경기 부천시 등은 상대적으로 많은 적응대책을 이행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폭우위험도와 예산 투자를 바탕으로 한 지자체 구분. 가로축은 폭우 위험도를, 세로축은 예산 투자 정도를 나타낸다. 1사분면에 표시된 지자체(문경시 등)는 폭우 위험도가 높지만 관련 투자도 많아서 위험한 지역으로 분류되지는 않았다. [자료: 한국기후변화학회지, 2023]](https://cdn.esgeconomy.com/news/photo/202402/5805_8027_3153.png)
![기후 대응 예산 지출까지 고려한 지자체별 기후 위험도. (a)는 폭염 위험도, (b)는 폭우 위험도. 붉은색으로 표시된 곳이 고위험 지역이다. [자료: 한국기후변화학회지, 2023]](https://cdn.esgeconomy.com/news/photo/202402/5805_8028_3355.png)
박위원은 “분석 결과, 아직 많은 지자체에서 관련 적응대책이 미흡한 상태”라며 “대구시의 많은 지자체는 실제 폭염 위험에 노출된 지자체로 볼 수 있어 많은 대응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또, 서울 강남구, 충남 부여군, 제주 서귀포시 등에서는 최근 폭우로 인한 피해가 실제 발생한 것으로 볼 때 적극적인 적응 대책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한편, 이번 연구에서는 지자체의 2022년 예산 자료만을 활용했는데, 누적된 예산 자료를 활용해 분석할 필요도 있다고 박 위원은 덧붙였다.
[강찬수 칼럼니스트 겸 환경전문기자]

#강찬수는 1993년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미생물생태학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1994년부터 중앙일보에서 30년 동안 환경전문기자와 논설위원으로 일하며 환경, 기상, 과학 분야 기사를 6,700여 건을 썼다. 산림청 자문위원, 환경신데믹연구소장 부소장 등으로 활동하고 있다. 최근 한국기후변화학회에서 수여하는 기후변화 언론인상을 받았다.
관련기사
- [강찬수의 에코인사이드] 극한 기후의 역설..."한파·폭염 오면 오프라인 손님은 증가"
- [강찬수의 에코인사이드] 이사회 여성 참여 ‘꼴찌’ 한국...ESG 후진국 될라
- [강찬수의 에코인사이드] 화학물질 관리, ESG 평가에 적극 반영해야
- [강찬수의 에코인사이드] ESG 평가에 ‘아시아 디스카운트’가 존재하는 이유
- [강찬수의 에코인사이드] 래리 핑크의 10년치 '서한' 메시지는..."E,S,G에 균형을"
- [강찬수의 에코인사이드] ESG경영 따로, 온실가스 배출 따로...이젠 안통한다
- [강찬수의 에코인사이드] 환경영향평가 제도 개선 시급하다
- [강찬수의 에코인사이드] 국민 96% “기후변화 심각”, 94% “일회용품 줄여야”
- ‘채취 불가’ 석유 표시한 지도 나왔다
- 폭염 탓에 2060년 세계 GDP 3.9% 사라질 전망
- 기상 재해 경험자 “청정에너지에 돈 더 내겠다”
- 중국 연구팀이 매긴 국가별 ESG 성적....한국, G20 중 상위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