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EA, 최신 보고서 통해 신흥·개도국 청정에너지 투자 확대 필요성 강조
투자 늘리는 부국들과 달리 신흥·개도국은 자금난으로 투자 부진

[ESG경제=이진원 기자] 신흥·개도국들의 청정에너지 투자가 2020년대 말까지 지금보다 6배 이상인 연간 1조달러(1116조원) 이상으로 확대되지 않으면 전 세계 기후 목표 달성이 어려워질 수 있다고 9일 국제에너지기구(IEA)가 경고했다.
이와 같은 경고는 선진국들이 청정에너지 투자를 늘리고 있는 것과 달리 상대적으로 자금력이 떨어지는 신흥·개도국들의 지난해 청정에너지 투자는 1500억달러에도 채 미치지 못한 것으로 드러난 가운데 나온 것이다.
IEA에 따르면 신흥·개도국들의 에너지 부문에 대한 연간 투자액은 2016년 이후 약 20% 감소했는데, 이는 미국과 유럽 국가들이 탄소 발자국을 줄이기 위한 투자를 크게 늘리고 있는 것과 대조적인 모습이다.
파티 비롤 IEA 사무총장은 "이것은 기후 변화에 맞선 전 세계적 싸움에서 결정적 약점"이라면서, 선진 7개국(G7) 정상들에게 파리협정에 서명한 대로 연간 1000억 달러를 신흥·개도국 기후변화 대처를 돕는 데 지원하기로 한 약속을 지켜줄 것을 촉구했다.
'파리 기후변화협정' 당사국들은 2020년부터 연간 1000억달러를 기후변화 피해 당사자인 신흥·개도국에 지원하기로 약속했지만, 현재 이 약속이 제대로 지켜지지 않고 있다.
부국과 빈국이 함께 청정에너지 투자 확대할 필요
전 세계의 교통, 건물, 중공업 부문에서 배출되는 배출물을 제거하는 데는 수조 달러가 필요할 것으로 추정된다. 부유한 국가 정상들은 청정에너지로의 전환을 가속화하면 경제 활성화 효과를 낼 줄 수 있다고 주장하고 있지만, 이들 국가에서만 투자가 집중돼서는 충분하지 않다는 게 IEA의 판단이다.
신흥·개도국 인구는 전 세계 인구의 3분의 2를 차지하지만, 전 세계 청정에너지 지출은 5분의 1에 불과하다. 따라서 신흥·개도국이 청정에너지 분야 투자를 크게 늘리지 않는다면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줄이는 노력에 차질을 빚을 수밖에 없다.
IEA는 공해 감축 투자가 부국에 집중하는 것 또한 비효율적으로 보고 있다. 신흥·개도국에서 1메트릭톤의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줄이는 데 드는 비용은 선진국의 절반 정도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전자는 이미 진행 중인 오염 에너지 프로젝트를 단계적으로 폐지하거나 개선해야 할 필요 없이도 더 깨끗하고 효율적인 기술로 곧장 전환할 수 있어 더 비용 효율적일 수 있다는 설명이다.
그렇지만 자금이 여전히 청정에너지 프로젝트 추진을 가로막는 중요한 장벽이 되고 있다. 신흥·개도국 시장에서 이런 프로젝트 추진을 위한 자금조달 비용은 미국이나 유럽보다 무려 7배나 높고, 청정수소 등 위험도가 높은 부문의 조달 비용은 이보다도 훨씬 더 높다. 따라서 개발업체들이 채권을 발행하거나 청정에너지 투자로 수익을 내기 어려운 게 현실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