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복현 금감원장, 금투협 '금감원장-자산운용사 CEO 간담회' 직후 발언
"거래소와 좀비기업 퇴출 논의중…시총·거래량 현저히 떨어진 기업 대상"

[ESG경제신문=김대우 기자]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은 지배구조 개편안이 소액주주 이익을 침해했다는 논란이 일고 있는 두산그룹에 대해 "정정신고서에 부족함이 있다면 횟수 제한 없이 정정 요구를 하겠다"고 밝혔다.
이 원장은 8일 금융투자협회에서 열린 '금융감독원장-자산운용사 CEO 간담회' 직후 기자들과 만나 이같이 말했다.
이 원장은 "(두산로보틱스로부터) 정정신고서를 제출받았다"며 "기본 원칙은 최초 증권신고서 제출 시 부족했다고 생각한 부분 즉, 구조개편의 효과, 의사결정 과정, 그로 인한 위험 등에 대해 주주들의 의사결정에 필요한 정보가 기재돼있는지 보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이러한 부분에 조금이라도 부족함이 있다면 횟수에 제한을 두지 않고 지속적으로 정정 요구를 하겠다는 게 감독원의 합의된 입장"이라고 전했다.
두산그룹 지배구조 개편안은 알짜 기업인 두산밥캣을 두산에너빌리티에서 인적 분할 해 적자기업인 두산로보틱스와 합병하는 게 골자다. 이에 두산밥캣과 두산에너빌리티 소액 주주들은 이러한 지배구조 개편안이 주주 이익을 침해한다고 지적하고 있다.
이 원장은 이날 기업·대주주의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 참여를 강조했다. 그는 "거래소 중심으로 진행되는 밸류업 프로그램 자율 공시와 관련, 산업을 리드하는 기업이 적극적으로 그 필요성을 인식해달라"며 "최고경영자(CEO)와 대주주 레벨에서 해외 투자자, 일반 투자자 대상 소통에 적극적으로 나서달라"고 촉구했다.
자본시장 선진화를 위한 페널티 취지로 언급됐던 좀비기업의 거래소 퇴출과 관련, "거래소와 상장 유지 기준, 상장 퇴출 기준을 엄격하게 하고 그 절차를 신속하게 진행하는 방안을 논의 중"이라며 "시가총액이 상장 시보다 현저하게 떨어지거나 거래가 거의 이뤄지지 않는 좀비 기업의 경우 일반 주주들이 빠져나갈 수단이 없는 셈이고, 상장제도의 좋은 면만 취하고 책임이 없는 이런 기업을 계속 유지하는 게 맞는지 고민하고 있다"고 말했다.
내년 1월 시행 예정인 금융투자소득세(금투세)에 대해서는 "(투자수익과 배당소득이) 이자수익과 같은 성격으로 취급하는 게 맞는지에 대한 문제 제기가 있다"며 반대 입장을 밝혔다.
관련기사
- 두산로보틱스, 두산밥캣과 합병비율 그대로 유지…정정신고서 제출
- 두산, 밥캣·로보틱스 합병 계획 "수정 없다"...주주 설득 적극 나서
- 기업거버넌스포럼 "민주당 코리아 부스터 프로젝트 추진 환영"
- 기업거버넌스포럼, 정부 밸류업 'C학점'으로 낮춰…"핵심 모두 빠져"
- 금융당국 합병 제동·주주가치 훼손 논란 '일파만파'…두산주식 동반 급락
- 두산그룹 분할·합병..."금감원이 증권신고서 정정 요구해야"
- 두산로보틱스·두산밥캣 내년초 합병...'소액주주 피해' 논란 확산
- 밸류업에 찬물 끼얹은 두산그룹...그걸 방조한 자본시장법
- 두산그룹, 사업 거버넌스 전면 개편...에너지·스마트머신·첨단소재 3대축
- 거버넌스포럼, 두산 3사 분할합병 정정 증권신고서 관련 공개 질의
- 두산밥캣·두산로보틱스 합병 철회…사업 개편 발표 49일만에
- 밸류업 지수 논란...'저PBR' KB금융·KT 빠지고 '고PBR' 깜짝 편입
- 두산, 밥캣 로보틱스 자회사로 편입 재추진…이번엔 성공할까
- 두산에너빌리티, 두산밥캣 분할합병 무산…비상계엄 불똥에 좌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