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의 ESG 목표와 NGO의 SDGs 17개 목표 모두 연결돼 있어"
혼합금융은 임팩트 창출, 민간 자금의 수익, 공적자금의 레버리지로 구성
"공적자금이 최초의 손실 자본 역할해 민간 자금의 부담줄여줄 수 있어"

[ESG경제신문=김연지 기자] 기업의 ESG투자가 공적개발원조(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ODA)과의 연계를 통해 성과를 낼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지난 12일 열린 ‘대한민국 사회적 가치 페스타’에서 진행된 ‘ESG 패러다임과 혼합금융으로 접근하는 '그린 임팩트(Green Impact)' 세션에서 전문가들은 이같이 말했다. 혼합금융이란 개발협력의 자금조달 방식의 하나로 ODA자금과 기업의 민간 자금(일반 개발금융·상업금융·민간투자자금 등)이 함께 투자되는 방식을 말한다.
발제에 참여한 법무법인 지평의 이준희 경영컨설팅센터 센터장은 “혼합금융과 개발협력을 전략화하기 위해서는 서로를 잘 이해하고 수익과 가치를 잘 진단하고 만들어가야 한다"면서 “(기업의) ESG는 NGO의 SDGs 17개 목표와 모두 연결되어 있고 매치될 수 있다"고 말했다.
이 센터장은 “한국은 대외 의존도가 굉장히 높고 중소·중견 기업들이 글로벌 비즈니스를 하면서 살아남고 있는데 (...) ODA라는 정책들이 이러한 여러 가지 문제를 해결하면서도 또 다른 기회를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기업이 단순히 “사회공헌"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ODA와의 협력을 통해 개발도상국에서의 공급망 관리, 새로운 시장 창출, 수익구조 개발 등의 전략적 기회를 가질 수 있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 코이카는 지난 2022년부터 기업의 ESG 전략과 ODA를 연계해 사업을 펼치는 '코이카 플랫폼 ESG 이니셔티브'를 운영하고 있다. 지난 2023년에는 코이카와 삼성전자가 '아프리카 4개국 모바일 순환 경제 구축 사업'을 진행하기도 했다.
삼성전자는 전자기기 사용 증가로 매년 발생하는 많은 양의 폐스마트폰, 즉 중고 갤럭시 기기를 아프리카의 '보급형 디지털 검안기'로 개발하는 협력사업을 진행했다. 아프리카 지역은 의료기기 부족 문제를 해결하고 삼성전자는 골칫거리가 되는 전자기기 폐기물로 인한 환경오염문제를 해결한 사례로 꼽힌다.
이날 토론 패널로 참여한 임팩트와이즈컨설팅 오수현 대표는 혼합금융의 중요한 요소로 ▲임팩트(신흥시장과 개발도상국의 경제, 사회, 환경 부문에서 임팩트를 창출할 것) ▲수익(실질적인 시장 기대에 부합하는 민간 투자자의 재무적 수익을 담보하는 것)▲레버리지(개발 재원을 촉매 자본으로 활용해 민간 자본을 유치하는 것) 등 세 가지를 꼽았다.
특히 오 대표는 혼합금융에서 공적 자금은 기업들이 ESG투자리스크를 완화할 수 있도록 돕는다고 강조했다. 혼합금융 구조에서 공공 재원은 ‘촉매 자본’이자 ‘최초의 손실 자본’의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오 대표는 “여기서 코이카(KOICA)의 역할은 촉매 자본으로서 공적 자금을 제공하고 이를 통해 민간 자원을 동원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즉 프로젝트에서 손실이 발생할 경우, 그 손실을 공공이 먼저 부담해 민간 자본의 유치를 유도한다는 것이다.
한편 중소벤처기업부 임정욱 실장은 같은 날 열린 '임팩트 투자, 위기인가? 기회인가?' 세션에서 “코이카와 협력을 해서 혁신적 기술 프로그램(CTS)와 팁스 프로그램을 붙여서 조금 더 많은 지원을 하는 그런 시도도 하고 있다”며 “국내 임팩트, 소셜 기업들이 (개발도상국 등) 글로벌 무대에 나가서 사회문제를 기술검증(PoC) 할 수 있는 지원사업을 내년에 더 열심히 하려고 한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 굿네이버스 글로벌 임팩트, 한국투자증권과 온실가스 감축 업무협약
- ESMA, ESG펀드 라벨링 규제 확정… 지속가능투자 비율 최소 80%
- 노르웨이 국부펀드, “그린래시는 ESG투자 확대할 좋은 기회”
- [지자체 ESG 현장 가다] ⑤ 日 지자체 ESG채권 발행 활기...SDGs 재원 걱정 사라져
- 대체투자 업계서도 ESG투자 활발...관심·규모 다 증가
- "홍보만 하는 ESG는 끝...임팩트 투자 실재화 단계"
- 최태원 "사회문제 풀 기업혁신 필요"...제1회 '사회적가치 페스타' 성료
- [정책브리핑] 아태지역 기후사업 지원에 1억불 보증 지원 서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