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후 20년간 현대건설, SK E&S, GS E&R, 엔라이튼 등서 재생에너지 조달
안정적 재생에너지 확보 및 온실가스 약 560만t 감축 효과 기대
사업장별 환경 고려해 2045년까지 국내외 사업장 재생에너지 100% 전환
태양광 자가발전 확대, 재생E 지분투자 등 탄소중립 포트폴리오 강화

[ESG경제신문=김대우 기자] 현대자동차가 탄소중립 실천과 재생에너지 100% 전환을 위한 노력을 적극 이어간다.
현대차는 최근 현대건설, SK E&S, GS E&R, 엔라이튼과 국내 최대 규모의 재생에너지 공급 계약(PPA, Power Purchase Agreement)을 체결했다고 30일 밝혔다.
PPA는 사용자가 계약을 통해 일정 기간 동안 고정된 가격으로 재생에너지를 구매하는 방식으로, 장기간에 걸쳐 안정적으로 전력을 조달 받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현대차는 이번 PPA를 통해 향후 20년간 현대건설, SK E&S, GS E&R, 엔라이튼으로부터 국내 사업장에 재생에너지 연간 610 GWh(기가와트시)를 공급 받는다. 이는 84kWh의 배터리가 장착된 아이오닉 5를 700만 회 이상 완충할 수 있는 전력량이다.
현대차는 이번 계약으로 장기간 대규모 재생에너지를 확보해 약 560만t의 온실가스 감축 효과를 기대하고 있으며, 이번 PPA 외에도 거점별 친환경 에너지 공급 환경을 고려해 국내외 사업장 재생에너지 100% 사용 전환에 박차를 가한다.
우선, 국내에서는 중장기적으로 원활한 재생에너지를 확보하기 위해 태양광 자가발전 인프라를 점진적으로 확대한다.
올해 전국 사업장에 총 20MW 규모의 태양광 발전시설을 구축한 현대차는 내년 설립 예정인 울산 EV 전용공장에 11MW 규모 태양광 패널을 추가로 설치하기로 하는 등 안정적인 탄소중립 포트폴리오 구축을 위한 노력을 이어갈 계획이다.
해외 사업장의 경우 지정학적 요소와 재생에너지 관련 정책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탄소중립 이행을 가속화한다.
현대차는 앞서 재생에너지 100% 전환을 완료한 체코와 인도네시아 공장에 이어 PPA와 재생에너지 지분 투자 등을 통해 내년에는 미국과 인도, 튀르키예 사업장에서도 모든 전력을 재생에너지로 조달할 계획이다.
현대차 관계자는 “PPA뿐만 아니라 태양광 자가발전 설비 확충 등을 통해 다양한 재생에너지 포트폴리오를 구축하고 탄소감축을 가속화해 2045년에는 국내외 모든 사업장에서 사용하는 전력의 100%를 재생에너지로 전환할 계획”이라며 “친환경 전력으로 생산한 차량을 고객들에게 제공하며 향후 기후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 현대차그룹, 부품·물류·철강부문 6개 계열사 손잡고 탄소중립 가속
- 정의선 현대차 회장 4년... 글로벌 톱티어 도약, 사회적 책임도 돋보여
- 현대차 창립 57년만에 누적생산 1억대 돌파…글로벌 최단 기간
- 거버넌스포럼 "MBK의 고려아연 공매개수, 자본시장 입장에서 환영"
- 밸류업 지수 논란...'저PBR' KB금융·KT 빠지고 '고PBR' 깜짝 편입
- 정의선 현대차 회장 "친환경차 격전지 유럽시장 전동화 속도 조절"
- 기업거버넌스포럼, 현대차 '밸류업' 계획 'A-학점'...'''조금 아쉽다"
- 현대차, '30년 전기차 200만대 글로벌 판매...10년간 120조 투자
- '전기차포비아' 어쩌나...벤츠 화재사고후 ‘전기차’ 호감도 35% 급락
- 현대차, 친환경차·현지 맞춤 성과...‘유럽 2위 자동차시장’ 영국서 최고 실적
- 현대차, 2024년 지속가능성보고서 발간...각종 실적 '팩트북' 별도 삽입
- 현대차, 공식 온라인 쇼핑몰 '현대샵' 리뉴얼 오픈
- 현대차, 中 기업사회책임 발전지수 9년 연속 자동차 기업 부문 1위
- 엔라이튼, KT&G에 향후 20년간 태양광 재생에너지 공급
- 엔라이튼, 삼성전자 협력사 RE100 자가용 태양광 공급사업자 선정
- 엔라이튼, 희망나무그룹홈에 태양광설비 설치...에너지 나눔 실천
- 엔라이튼, 충청남도와 RE100 업무협약…지역기업 탄소중립 지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