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11차 전기본 확정…'38년 원전 35%·재생에너지 29%로 확대

  • 기자명 김현경 기자
  • 입력 2025.02.21 15:13
  • 수정 2025.03.06 17:55
  • 댓글 0

SNS 기사보내기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무탄소 발전 비중 70% 돌파...신규 원전 2기·첫 SMR 반영
재생에너지 설비 122GW로 확대...'38년 전력수요 지금보다 30% ↑

제주도 해상에 위치한 해상풍력발전 단지의 풍력발전기가 돌아가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제주도 해상에 위치한 해상풍력발전 단지의 풍력발전기가 돌아가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ESG경제신문=김현경 기자] 정부가 원전과 재생에너지 등 무탄소 발전 비중을 2038년 70.7%까지 확대하도록 설계한 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전기본)을 확정 발표했다. 구체적으로 2038년 원전 발전 비중은 35%, 재생에너지는 29%로 확정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1일 전력정책심의회를 열고 이같이 결정했다. 11차 전기본은 2024년부터 2038년까지 14년 간 적용된다. 전기본은 장기 수급 전망을 바탕으로 발전 설비를 어떻게 채울지 계획을 담은 문서로 2년마다 새롭게 마련된다.

11차 전기본은 반도체 등 첨단산업 발전과 AI 데이터센터 건설 붐, 전기화 등 전력 수요가 과거보다 빠르게 증가할 것이란 전망을 바탕으로 원전과 재생에너지, 수소 등 무탄소 에너지를 중심으로 전기 수요를 충족하는 것을 목표로 제시했다.

정부는 11차 전기본에서 전기 수요가 연평균 1.8%씩 빠른 속도로 증가해 2038년 목표 수요가 129.3GW(기가와트)에 달할 것으로 내다봤다. 2038년까지 국내 전기 수요가 현재 수준보다 약 30% 늘어날 것이란 전망이다. 

특히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 등 첨단산업(1.4GW), 데이터센터(4.4GW), 수소환원제철 도입과 전기차 보급 확대 등의 전기화(11GW)를 비롯해 과거에는 없던 새로운 추가 수요가 생길 것으로 전망했다.

'38년 원전 35%∙재생E 29%로 확대 

이런 수요 변화에 대응해 발전 설비를 늘려가되 원전과 재생에너지를 두 축으로 한 무탄소 발전 비중은 2023년 39.1%에서 2030년 53.0%를 거쳐 2038년 70.7%까지 늘어나게 설계됐다.

이 가운데 원전과 재생에너지 비중은 오는 2030년 각각 31.8%, 18.8%를 각각 기록하고, 2038년에는 35.2%, 29.2%로 확대된다. 2023년 대비 재생에너지 비중은 20.8%p 증가하고 원전은 4.5%p 증가하게 된다. 

연구개발 단계인 수소·암모니아 발전 비중도 2030년 2.4%에서 2038년 6.2%로 확대된다.

무탄소 전력의 확대를 위해 발전 설비도 크게 확충한다. 먼저 2037∼2038년 총 2.8GW 설비용량의 원전 2기를 도입한다. 정부와 한국수력원자력은 최대한 빨리 부지 선정 등 신규 원전 선정 절차를 시작할 방침이다.

또한 2035∼2036년에는 소형모듈원자로(SMR)가 처음으로 0.7GW 규모로 들어서게 된다.

재생에너지 '38년 122GW로 확대... 현재 4배 수준

재생에너지로는 대규모 해상풍력발전 보급에 강한 드라이브를 걸고, 이격 거리 규제를 완화하는 등 수요지인 산단을 중심으로 태양광 발전 설비 설치도 촉진할 방침이다.

11차 전기본은 2023년 30GW이던 재생에너지 발전 설비용량을 2030년 78GW, 2038년 121.9GW로 늘린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재생에너지 발전 설비를 현재의 4배 수준으로 확충한다는 계획으로, 대규모의 재생에너지 발전 설비 투자가 필요할 전망이다.

산업부는 "11차 전기본은 AI와 반도체 등 새롭게 늘어나는 전력 수요에 안정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원전, 재생에너지, 수소 등다양한 무탄소 전원을 조화롭게 활용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며 "무탄소 에너지 전환을 위한 에너지 정책이 정상 궤도에 오르고, 민간의 사업 계획 불확실성을 해소하는 데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ESG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기사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하단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