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신한울 원전 3·4호기 건설 본격화...한수원, 내일부터 공사 착수

  • 기자명 김대우 기자
  • 입력 2024.09.12 17:37
  • 수정 2024.09.12 18:02
  • 댓글 0

SNS 기사보내기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2032∼2033년 완공 예상…원자로 터 굴착 등 공사 개시
원자로 등 주기기는 제작중…총 11조7000억 공사비 투입
현재 국내 원전 26기 운영중...향후 총 30기 가동될 전망
2017년 건설 백지화...'탈원전 폐기, 원전 산업 부활'의 상징
尹정부, 신규 원전 3기 더 건설...SMR, 발전에 본격적으로 투입

신한울 원전 3·4호기가 들어설 경북 울진 건설 현장. 현재 터닦기 공사가 마무리된 상태로 한수원은 건설 허가와 동시에 본격적인 공사에 들어간다. 사진=한국수력원자력
신한울 원전 3·4호기가 들어설 경북 울진 건설 현장. 현재 터닦기 공사가 마무리된 상태로 한수원은 건설 허가와 동시에 본격적인 공사에 들어간다. 사진=한국수력원자력

[ESG경제신문=김대우 기자] 원자력안전위원회가 12일 신한울 원전 3·4호기에 대해 건설 허가를 함에 따라 사업자인 한국수력원자력이 공사에 본격 착수한다고 밝혔다.

한수원은 이날 보도자료를 통해 "13일 본관 기초 굴착과 함께 본격적인 공사에 착수한다"며 "건설 시작에 앞서 신한울 3·4호기 건설 부지에서 관계사 임직원들과 함께 안전 다짐 결의대회를 개최, 명품 원전 건설, 안전한 일터 조성을 위해 힘쓸 것을 다짐할 예정"이라고 입장을 발표했다.

경북 울진 한국수력원자력 신한울 원자력발전소 전경.  사진=한수원
경북 울진 한국수력원자력 신한울 원자력발전소 전경. 사진=한수원

신한울 3·4호기 건설 사업은 2032∼2033년까지 경북 울진군 북면에 1400㎿(메가와트)급 원전 2기를 짓는 프로젝트로 약 11조7000억원의 공사비가 투입된다. 국내에 7번째, 8번째로 건설되는 신형 원전인 APR1400 노형이다.

원전 건설은 ▲ 정부 전력수급기본계획 반영 ▲ 정부 실시계획 승인 ▲ 원안위 건설 허가 ▲ 사업자의 건설 ▲ 원안위의 운영 허가 ▲ 시운전 및 준공 등의 과정을 거쳐 이뤄진다. 이번에 원안위의 건설 허가로 사업자인 한국수력원자력은 신한울 3·4호기를 건설할 수 있게 됐다. 원안위의 건설 허가가 정부와 업계의 예상보다 빨리 나와 완공 시점이 다소 앞당겨질 가능성도 있다.

그래픽=연합뉴스
그래픽=연합뉴스

최일경 한수원 건설사업본부장은 "원전 생태계 복원의 상징으로 불리는 신한울 3·4호기가 이번에 건설 허가를 받은 만큼 책임감을 갖고 최고의 안전성을 갖춘 원전으로 건설하겠다"고 말했다.

현재 국내 원전은 26기가 운영 중이다. 건설 막바지인 새울 3·4호기와 건설이 곧 시작될 신한울 3·4호기까지 향후 투입되면 총 30기가 가동될 전망이다. 국민의 정부 시절인 2002년부터 추진돼 발전사업 허가까지 받았던 신한울 3·4호기는 문재인 정부 시절인 2017년 탈원전 정책으로 건설이 백지화됐다.

이후 윤석열 정부 들어 건설 계획이 다시 살아나 '탈원전 폐기, 원전 산업 부활'의 상징이 됐다. 정부와 한수원은 '잃어버린 시간'을 만회하기 위해 공사에 주력해 완공 시기를 최대한 당기겠다는 방침이다. 한수원은 정식 공사에 앞서 정부 실시계획만으로 할 수 있는 터 닦기 공사를 이미 마쳐 놓은 상태다. 원안위 허가가 이뤄지면서 신속히 원자로 터 굴착 등 본공사에 착수할 계획이다.

아울러 원전 부지 공사와 별도로 원자로, 발전기 등 '주기기'는 이미 수주사인 두산에너빌리티 공장에서 제작이 이뤄지고 있다. 신한울 3·4호기 건설은 사실상 시작된 것으로 볼 수 있다.

주기기 계약 규모는 2조9000억원에 달한다. 추가로 펌프, 배관, 케이블 등 보조 기기 계약이 10년간 2조원 규모로 순차 발주될 예정이어서 신한울 3·4호기 건설 본격화로 국내 원전 업계에 대량의 일감이 공급된다.

그래픽=연합뉴스
그래픽=연합뉴스

정부는 신한울 3·4호기를 이후 추가 신규 원전 건설 계획도 추진하고 있다. 지난 5월 공개된 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전기본) 실무안에는 2038년까지 최대 3기의 원전을 더 건설하고, 2035년부터는 소형모듈원자로(SMR)를 발전에 본격적으로 투입하는 내용이 담겼다. 전기본에 신규 원전 건설 계획이 들어간 것은 2015년 이후 9년 만이다.

그래픽=연합뉴스
그래픽=연합뉴스

정부는 재생에너지인 태양광·풍력 발전과 원전을 함께 늘려 오는 2038년까지 국내에서 만들어지는 전기 중 70% 이상을 '무탄소 전기'로 채운다는 계획이다.

11차 전기본 실무안에 따르면 주요 무탄소 전원인 원전과 신재생에너지 비중은 각각 2030년 31.8%, 21.6%를 기록하고, 2038년 35.6%, 32.9%로 높아진다. 또 수소암모니아 발전 비중도 2030년 2.4%에서 2038년 5.5%로 확대된다. 현재 원전의 발전 비중은 약 30% 수준이다.

다만 원전 확대를 뒷받침하기 위해서는 수요지인 수도권까지 전기를 나를 송전망의 안정적 확충과 고준위 방사성 폐기물을 안전하게 영구 처분할 수 있는 방폐장 건설이 뒷받침돼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ESG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기사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하단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