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전 세계 SAF 생산량 100만 톤...한국은 예외 지역
국내 하이브리드차 약진, 내연기관차 신규등록 20만 건 감소
[ESG경제신문=김연지 기자] 지난해 대한항공, 아시아나, 제주항공, 진에어, 티웨이항공, 이스타항공 등 국내 주요 항공사 6곳의 지속가능항공유(SAF) 사용량총 1톤도 안된다는 분석이 나왔다.
관련기사
- 전기차와 내연기관차 가격 같아져...배터리 '프라이스 패러티' 도달
- “EU 항공 여객 교통량 '50년 두 배 증가…탈탄소화 요원”
- 글로벌 항공사 SAF 전환 게걸음…"생산·투자 노력 부족"
- 항공업계 탈탄소화 길 험난하네...SAF 공급 부족에 대안도 마땅찮아
- 현대차·기아, 프랑스서 판매한 신차 10대 중 6대는 '친환경차'
- 현대차 ‘아이오닉 5 N’, 독일·영국 고성능 전기차 비교평가서 최고 등극
- 탄소중립 시대, 한국 기업 경쟁력 강화에 필요한 정책은?
- [해외브리핑] 美 공화당 의원 12명, 하원 재정위원장에 IRA 지지 서한
- 올해 SAF 생산 1년새 2배 늘었지만…전체 수요량의 0.7% 그쳐
김연지 기자
kimyj@esgeconomy.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