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룸버그 “AI가 일자리 영향 주는 신호탄”
2035년까지 3억명 일자리 상실 경고도
‘직업의 지속가능성’ 우려...민관 협력 절실

[ESG경제=김강국 기자] 미국에서 지난달 인공지능(AI)으로 일자리를 잃은 사람이 3,900명에 육박하는 것으로 추정됐다. 기업의 해고 사유 통계에 AI가 처음 등장한 셈인데, 앞으로 인공지능이 ‘직업의 지속가능성’에 얼마나 영향을 미칠지 뜨거운 논쟁이 예상된다. 한국 내 AI 도입과 고용시장 충격도 불보듯 뻔해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
미국의 인사관리 컨설팅 회사 챌린저그레이앤크리스마스(CG&C)는 1일(현지시간) 보고서에서 지난 5월 한 달 미 기업들은 감원 계획은 8만89명으로 전월(6만6,995명) 대비 19.5% 늘었다고 밝혔다. 올해 1~5월 중 발표한 감원 계획은 41만7,500명으로 작년 같은 기간보다 315% 급증했다. 이는 코로나19가 덮친 2020년 이후 3년 만에 최대 치다.
5월 해고의 사유로 여러 가지가 거론됐는데, ‘AI 때문’이라고 명시된 사람은 3,900명에 달했다. 폐업(1만9,598명)과 시장 상황(1만4,617명), 비용 감축(8,392명) 등 17개 항목 가운 데 7번째로 많았다. 5월 감원 보고서에서 업종 별로 감원이 가장 많은 분야는 기술로 2만2,887명이었다. 소매업(리테일) 분야가 9053명으로 뒤를 이었다.
블룸버그는 기업들의 인력감축 원인 중 AI가 등장한 것은 처음이라면서, AI가 일자리에 본격적으로 영향을 주기 시작했다는 신호로 보인다고 평가했다. 사람들이 담당하던 일을 AI가 대체하게 돼 기업이 더 고용할 필요성을 느끼지 않게 됐다는 의미다.
골드만삭스는 최근 챗GPT 같은 이른바 '생성형 AI' 개발이 2035년까지 전 세계적으로 3억 개의 일자리를 대체할 것이라는 보고서를 내놓은 바 있다. 샘 올트만 오픈AI 최고경영자도 AI가 일자리에 영향을 주는 만큼, 피해를 줄이기 위해 민간과 정부간 협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AI시장 2032년에 1조3,000억 달러 규모...10년 간 30배 넘게 성장
한편 인공지능(AI) 챗봇 '챗GPT' 열풍으로 AI 붐이 조성되면서 '생성형 AI' 시장이 10년 후인 2032년에 1조3,000억 달러(약 1,705조원) 규모로 커질 것으로 전망된다고 블룸버그통신이 1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지난해 이 시장의 규모가 400억 달러(약 52조5,000억원)였던 점을 감안하면 10년간 30배 넘게 커진다는 것이다.
블룸버그 산하 경제연구소 블룸버그 인텔리전스의 만디프 싱 애널리스트가 주도한 보고서에 따르면 이 분야는 AI 시스템 학습에 필요한 인프라와 AI 기기, 광고 등의 수요 등으로 10년간 매년 42% 성장할 것으로 예상됐다.
싱은 "향후 10년간 기술 분야의 운영방식을 근본적으로 바꾸는 생성형 AI의 폭발적인 성장을 목도할 것"이라며 "이 분야가 발전하면서 IT(정보기술)·광고 지출에서 큰 부분을 차지하고, 사이버보안의 핵심으로 성장할 것"으로 내다봤다.
보고서는 아마존의 클라우드 사업부, 구글의 모기업 알파벳, 엔비디아, 오픈AI에 대규모 투자를 한 마이크로소프트(MS)가 AI 붐의 최대 수혜자가 될 것으로 전망했다. 또 생성형 AI 매출 성장은 AI 모델을 학습하는 데 필요한 인프라 수요가 이끌 것이며, 그 규모는 2032년까지 2,470억 달러(약 324조원)에 달할 것으로 추산했다. AI가 지원하는 디지털 광고 부문은 2032년 연간 매출이 1,920억 달러(약 252조원), AI 서버 매출은 1,340억 달러(약 176조원)에 달할 것으로 보고서는 예상했다.
관련기사
- 미-EU, 챗GPT 부작용 막을 'AI 행동강령' 마련한다
- 챗GPT 아직은 못 믿겠네..가짜 판례를 지어내다니
- MS, 챗GPT에 검색엔진 '빙' 제공…윈도에 'AI 비서' 탑재
- AI로 ESG평가의 객관성‧신속성 확보 가능할까?
- 美 의회로 간 '인공지능'…챗GPT 창시자 "규제·국제기준 필요"
- 美 화이트칼라, AI 확산에 일자리 소멸 우려
- 챗GPT는 실리콘밸리 구세주...뭉칫돈 몰린다
- 엔디비아 주가 치솟자 ESG펀드 신났다
- KT·네이버 '초거대AI 생태계구축사업' 공급자로 선정
- AI 시대...녹색 일자리는 3000만개 늘어난다
- 유엔, AI행동규범 추진…IAEA급 기구 만든다
- 국내외 글로벌 기업, AI 인재 확보에 사활
- 애플도 AI 언어 개발…오픈AI·구글 따라잡는다
- 딥페이크 음성 들려주니…"4개 중 1개 꼴로 진짜와 구분 못 해"
- 글로벌 CEO의 49%, 생성 AI 확산에 “고용 중단·조정 고려”
- ‘AI 안전’ 글로벌 첫 정상회의…AI 위험 공동 대응 ‘블레츨리 선언’ 채택
- 메리 '플라스틱마스'... 크리스마스 트리, 낭만적인 독이다
- 페덱스, 3억 6000만 달러 규모 부당해고 소송 승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