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관합동 145조 투자…유니콘 10개, 2030년 수출 100조
정부, '기후테크산업 육성전략'...기후금융 8조원으로 확대

[ESG경제=김강국 기자] 정부는 탄소중립 시대를 맞아 국내 ‘기후테크 산업’을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키우기로 했다. 이를 위해 2030년까지 145조원 규모의 민관 합동 투자 및 연구개발(R&D)에 나서 기후테크 관련 수출 100조원을 달성한다는 계획이다.
정부는 22일 정부서울청사에서 한덕수 국무총리 주재로 '2050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 제4차 전체회의를 열고 이같은 내용의 '기후테크 산업 육성 전략'을 마련했다. 기후테크 산업은 온실가스 감축 및 기후변화 적응 기술을 활용하는 모든 연관 산업을 포괄한 개념이다.
정부는 2030년까지 민관 합동으로 기후테크 산업에 145조원 규모의 투자를 단행해 ▲유니콘(기업가치 1조원 기업) 10개 육성 ▲수출 100조원 달성 ▲신규 일자리 10만개를 창출이라는 목표를 달성키로 했다.
투자 자금과 관련해서는 5대 금융그룹이 기후테크 산업 분야 채권 발행, 대출, 프로젝트펀드(PF) 등의 방식으로 약 135조원 규모의 투자를 지원하고, 기업형 벤처캐피탈(CVC) 등 기업의 ESG(환경·사회·지배구조) 활동과 연계한 2,000억원 규모의 민간 투자를 활성화한다.
기후테크 기업과 관련한 융자 보증 등 기후 금융을 2030년까지 8조원 규모로 확대하고, 산업기술혁신펀드 내 전문 펀드를 신설하는 방식으로 4,000억원 이상의 정책 펀드를 조성한다.
기후테크 시장을 키우기 위한 정책도 추진한다. 이를 위해 정부는 수요 연계형 연구개발을 확대하고, 조달 연계 지원 사업, 절충교역 등 공공 시장을 통해 관련 산업의 초기 수요를 이끈다는 방침이다. 아울러 정부는 국내 탄소시장 활성화, 인력양성 확대 등을 통해 기후테크 산업의 성장 기반을 강화하겠다는 구상이다.
정부는 또한 인증 표준을 고도화하고 온실가스 감축 실적 검증 컨설팅을 지원하는 한편 에너지융합대학원 확대와 수출 특성화 프로그램 신설 등을 통해 융합형 기술 전문 인력을 양성할 계획이다.
한덕수 총리는 "기후테크 산업은 급속한 성장이 기대되는 유망 분야"라며 "온실가스 감축목표의 달성을 위해서도 혁신적인 기술이 뒷받침돼야 하고 세계 각국 기술 패권 경쟁에서도 앞서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기후테크는 불확실성이 높은 신산업 분야인 만큼 정부는 기업과 늘 소통하면서 연구개발(R&D)과 투자, 국내외 시장개척 지원, 규제혁신과 제도 정비, 전문인력 양성 등을 추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 대기 중 탄소포집 물거품되나?....관련 프로젝트 줄줄이 지연
- 첨단 기후테크 집결 '기후산업 엑스포'...25~27일 부산에서
- 새 정부 ESG 정책과제는...소셜 택소노미 도입하고 K-ESG 가이드라인 고도화
- 정부, 온실가스 감축 실적 매년 점검...올 연말 첫 발표
- 화석연료 사용비중 82%…기후변화 경고에도 증가세
- 공화당이 뭐라 한들 "ESG가 중요"...미국 투자자 조사 결과
- 상반기 글로벌 기후테크 벤처투자 급랭...투자금 40% 줄어
- 기후위기로 전세계 ‘비상’…G20 화석연료 감축 논의는 '빈손'
- 국내 '탄소중립 기술개발 성과' 공유…그랜드 컨소시엄 출범
- 경제 불확실성에 기후테크 투자 40% 이상 급감
- 글로벌 기후테크 투자, 국가별로 다양해지고 메가딜 증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