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RA 여파에 북미산 판매 64%↑…韓브랜드 판매비중 7.2%로 선방

[ESG경제=김도산 기자] 미국 전기동력차 시장이 올해 상반기에 전년 동기 대비 50% 이상 성장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한국자동차모빌리티산업협회(KAMA)는 23일 이러한 내용을 담은 '2023년 상반기 미국 전기동력차 시장동향' 보고서를 발표했다. 전기동력차 범위에는 전기차(BEV)와 플러그인하이브리드차(PHEV), 수소연료전기차(FCEV) 등이 포함된다.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미국 전기동력차 판매는 공급망 회복, 가격 인하 경쟁, 신모델 투입 확대 등으로 작년 동기 대비 54.8% 증가했다. 전체 승용차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8.6%로 높아졌다.
유형별로는 전기차와 플러그인하이브리드차는 각각 59.2%와 39.4% 증가했지만, 수소연료전기차는 모델 노후화 등으로 0.4% 감소했다.
북미에서 생산된 전기차에만 보조금을 주는 인플레이션 감축법(IRA) 여파로 올해 상반기 북미산 전기동력차 판매는 64.3% 증가했고, 판매 비중도 지난해 73%에서 올해 77.4%로 4.4%포인트 늘었다. IRA 영향으로 제조업체 국적별 판매도 미국계 브랜드가 60.7% 증가했고, 비중도 68.5%에서 71.2%로 확대됐다.
한국계 브랜드는 성장 속도가 둔화했지만 리스·렌트 등 상업용 판매 비중 확대와 라인업 강화, 기업 차원의 인센티브 지급으로 판매량이 5.9% 늘었다. 점유율은 7.2%로 집계다.
모델별 순위를 살펴보면 순수전기차는 테슬라의 모델Y와 모델3가 1, 2위를 차지했다. 한국에서는 현대차 아이오닉5와 기아 EV6가 각각 판매 7위와 10위를 기록했다.

강남훈 KAMA 회장은 "국내 자동차산업의 세계적인 경쟁력 확보를 위해 국내 전기자동차 생태계 구축이 더욱 중요해쟜다"며 "임시투자세액공제와 같은 투자지원제도 연장과 미래자동차 부품 산업의 전환 촉진·생태계 육성에 관한 특별법의 제정 등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 리튬 가격 하락하자 머스크 '함박웃음'..."마진 개선 기대"
- 올 상반기, 친환경차 25.4만대 증가…차량 보유는 국민 2인당 1대
- 친환경 ‘5세대 산타페’…도심과 자연 어디서나 멋진 라이프를
- 자동차·배터리·조선 '맑음'…"반도체, 10월부터 풀릴 듯"
- 1∼5월 세계 전기차 배터리 사용량 52%↑…K배터리 점유율↓
- '반값 테슬라' 현실화 되나?…"인도에 저가 신차 공장 건설 논의"
- 베트남 전기차 시장, 고속 성장 하이웨이 달린다
- 현대차, 고성능 N 브랜드 첫 전기차 '아이오닉5 N' 출시
- 경기도 3개 민자도로, 연말까지 전기·수소차 통행료 50% 감면
- 美 전기차 100만대 도달까지 10년…이젠 100만대 증가에 불과 1년
- 최근 3년간 전기차 리콜 14배 증가…리콜 1위는 테슬라 모델3
- 기아, 5년 만에 글로벌 대리점대회…140개국 390여명 참석
- “미래엔 자동차가 난다”...대구 미래모빌리티 엑스포 현장
- 프랑스 이어 독일도 전기차 보조금 중단…“예산이 없어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