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산과 경쟁하는 역내 풍력산업 지원 주목
저가 수입 장비 불공정 무역 여부도 조사
회원국 연결하는 핵심 전력망 구축에 속도

[ESG경제=이신형기자] 유럽연합(EU) 집행위원회가 금융지원 확대를 포함한 풍력발전산업 육성 종합 방안을 확정해 다음 주 할 예정이다.
EU는 2030년까지 재생에너지 발전 비중을 현재보다 약 두 배 높은 42.5%까지 끌어올릴 계획이다. 이를 달성하려면 업계의 자금 조달 여건의 개선이 필요하다. 이와 함께 저가의 중국산 수입 제품과 경쟁하는 역내 업계 지원 차원에서도 금융지원 확대가 필요하다는 목소리를 반영한 조치다.
블룸버그뉴스는 16일 EU 집행위원회의 관련 자료 초안을 입수해 EU가 이달 24일 풍력발전 산업에 대한 금융지원 확대 방안을 발표할 것이라고 보도했다.
EU가 발표할 방안에는 ▲청정기술 산업에 대한 금융지원 규모를 14억유로로 두 배 확대 ▲유럽투자은행(EIB)와 협력해 연말까지 핵심 풍력발전 산업 공급망에 대한 은행 익스포져 간접보증 수단 마련 ▲인허가 절차 단축을 위한 비상조치 적용 기간 연장과 인허가 절차의 디지털화 등의 내용을 담고 있다.
또한 ▲회원국의 풍력발전 사업 입찰 계획을 공고하는 디지털 플랫폼 구축 ▲사이버 보안과 지속가능성과 관련된 사업자의 사전 자격 기준을 포함하는 입찰 과정 설계 ▲관련 산업의 사이버보안 위험 식별 등의 내용이 포함될 예정이다.
이와 함께 EU는 다음 달 회원국을 서로 연결하는 핵심 전력망 구축 프로젝트 추진을 속도감있게 추진하기 위한 행동계획도 발표할 예정이다.
중국산 겨냥 불공정 무역 여부 조사
EU는 재생에너지 중심의 에너지 전환을 추진하면서 역내 관련 산업 육성에도 적극적이다. 현재 유럽의 풍력발전 기업이 세계 시장을 주도하고 있으나, 가격 경쟁력을 앞세운 중국 기업의 도전을 받고 있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EU는 수입산 풍력발전 관련 상품에 대한 보조금 지급 여부를 면밀하게 조사하기로 했다. 현재 중국산 장비는 유럽이나 미국산에 비해 평균 20% 싼 가격에 공급되고 있고 일부는 싼 가격에 연지급(후불제) 조건까지 제공된다.
EU 집행위는 “불공정 (무역)관행 가능성과 관련해 업계가 제기한 증거에 대해 철저한 조사가 이루어질 것”이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 윤석열 정부의 CFE 야심...RE100 대체 가능할까
- EU, 탄소국경조정제도(CBAM) 세계 첫 시행
- EU 새 기후수장 “화석연료 보조금은 탈탄소 노력에 역행”
- 세계 온실가스 배출량 올해도 늘어…기후변화 대응 연대는 공염불?
- G20, ‘30년까지 재생에너지 3배로 확대...화석연료 퇴출 합의는 불발
- EU, 올 상반기 화석연료 발전 비중 33%...사상 최저
- EU, ‘30년 재생에너지 목표 42.5%로 확정
- EU집행위, '넷제로 산업법' 발의...'그린딜 산업계획' 뒷받침
- 도이치은행, 금융배출량 적용 탄소중립 전환계획 마련
- 부유식 해상풍력 뜬다...재생에너지 시장의 새 먹거리로
- COP28 의장국, ‘30년까지 재생에너지 3배 확충 촉구
- EU 풍력발전 빠른 진전...'30년 재생에너지 목표 달성 무난할 것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