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ESG경제=홍수인 기자] LG화학이 우리 생활에서 마구 버려지는 페트(PET)병으로 바닥재 원료인 친환경 가소제를 만드는 방식으로 ‘플라스틱 순환 체계’를 구축한다.
가소제는 폴리염화비닐(PVC)의 유연성과 탄성을 향상하는 필수적인 첨가제로, 주로 바닥재와 자동차 시트 등을 만들 때 사용된다.
LG화학은 이번에 개발한 친환경 가소제는 기존 방식과 비교해 탄소 발생량을 대폭 줄인 제품이라며, 오는 12월부터 본격 생산에 들어간다고 26일 밝혔다.
친환경 시장은 전 세계적으로 플라스틱 관련 정책이 강화되며 나날이 커지는 상황. 미국 일부 주에서는 재활용 소재 사용 의무를 현재 15%에서 2030년까지 30%로 확대하는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LG화학의 친환경 가소제도 북미 수출에 주력하는 주요 고객의 요청으로 개발됐다.
LG화학은 미국의 글로벌 재생표준인증 GRS를 획득했다. GRS는 재생 원료를 20% 이상 포함한 친환경 제품 인증으로 북미 주요 바닥재 및 섬유 업체들이 GRS표준을 가지고 있다.
한동엽 LG화학 PVC·가소제 사업부장(상무)은 "이번에 출시한 친환경 가소제와 기존에 내놓은 재활용 PVC 등 친환경 제품의 지속적인 확대를 통해 선도적인 ESG 혁신을 가속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LG화학은 지속가능성 전략 추진을 위해 바이오 원료를 활용한 기저귀 출시와 재활용 플라스틱을 활용한 친환경 리모컨, 셋톱박스 등을 잇달아 선보인 바 있다.
관련기사
- 화장품 용기도 이젠 ‘친환경이 대세’…화학·화장품업계 손잡았다
- LG화학 '유럽 CS센터' 개관…"고객 맞춤형 밀착 지원 하겠다"
- LG화학, 1246억원 투자해 청주에 역삼투막 공장 증설
- LG화학 ‘제품 탄소발자국 산정방식’ 국내 최초로 글로벌기관 인증
- LG화학, 하이니켈 단입자양극재 국내 첫 양산
- ‘제주 제로 플라스틱 원정대’ 참여해 ‘플라스틱 없는 여행’을
- 국제사회는 '플라스틱 규제 강화'...한국은 '일회용품 규제 철회'
- UN 국제 플라스틱 협약 제3차 회의 종료...합의 도출 실패
- 무역협회 "플라스틱 퇴출 시대…수출기업 대응 시급하다"
- LG화학, 재활용 소재로 만든 휠체어 '스포크 가드' 기증
홍수인 기자
hongsi@esgeconomy.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