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해 27.9도 동해 25.8도 서해 25.4도…양식생물 3622만마리 피해

[ESG경제=홍수인 기자] 올여름이 유난히 더웠던 영향으로 한반도를 둘러싼 바다 온도도 관측이 시작된 이래 가장 높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국립수산과학원은 지난 8월 하순부터 10월 초순까지 한반도 주변 해역의 수온이 26도를 기록했다고 2일 밝혔다. 이는 수산과학원이 1990년부터 인공위성을 이용해 우리나라 바다 표층 수온을 관측한 이래 33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다.
이러한 수온은 1997∼2022년 같은 기간의 평균 수온이 24.4도인 것과 비교해 1.6도 높은 수치다. 해역별로는 남해가 27.9도로 가장 높았으며, 동해 25.8도, 서해 25.4도 순이었다.
평년에 비하면 동해가 2도 이상 상승하였고, 남해와 서해의 상승 폭은 1도 안팎이었다.
수산과학원 관계자는 "북태평양 고기압 확장에 따라 9월까지 이어진 폭염이 한반도 주변 해역에 영향을 줬고, 대기로부터 열 공급이 이례적으로 많아지면서 수온이 높아졌다"고 설명했다.
올여름 고수온 특보는 지난해 대비 3주 이상 늦게 발령됐으며, 8월 중순 태풍 '카눈' 통과 이후부터 9월까지 이례적인 폭염이 이어졌다.
올해 고수온 특보는 특보 발령 기준이 마련된 2017년 이후 가장 늦게까지 이어졌으며, 그 영향으로 양식 생물의 피해는 3,622만천마리에 달했다. 이는 2018년 6,391만마리가 폐사한 이후 2번째로 큰 규모다.
수산과학원 관계자는 "여름철 최고 기온의 상승으로 최근 10년의 폭염일수가 증가하는 등 이상기후 빈도가 증가하고 있다"며 "한반도 주변 해역에서도 여름철을 중심으로 이례적인 고수온 현상의 발생 빈도, 강도가 더욱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 폭염, 유럽의 여름 휴가 공식을 바꾼다
- 美 플로리다 바닷물 ‘온탕’ 됐다...체온보다 높은 38도
- 지금도 푹푹 찌는데…NASA "내년, 엘니뇨로 더 뜨겁다"
- 뜨거워진 ‘열(熱)바다’…산호초 하얗게 변했다
- 천년에 한 번 올 ‘폭포 비’에 바닷물 온도 35도…美, 극단기후 강타
- "지구 기온 1℃ 상승하면 세계인구 20억명이 홍수 위험”
- 바닷물 온도 급상승…기후재앙 '티핑 포인트' 도달?
- 인공위성으로 탄소 배출량 측정...캐나다 GHGSat, 배출량 감시 위성 발사
- ‘한증막보다 더 덥다’…브라질, 폭염에 '체감온도 60도’
- 울릉도는 열대섬?…뜨거워진 바다에 열대어 무리 대거 출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