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수소 1㎏당 온실가스 배출량 4㎏ 이하'면 청정수소로 인증

  • 기자명 김도산 기자
  • 입력 2023.12.18 17:26
  • 수정 2023.12.20 00:11
  • 댓글 0

SNS 기사보내기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제6차 수소경제위, 수소산업 10대 분야·40대 핵심품목 도출
2030년 수소차 30만대 보급·수소충전소 660기 이상 구축

한덕수 국무총리가 18일 오후 서울 중구 롯데호텔에서 열린 제6차 수소경제위원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한덕수 국무총리가 18일 오후 서울 중구 롯데호텔에서 열린 제6차 수소경제위원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ESG경제=홍수인 기자] 수소 1㎏을 생산할 때 배출되는 온실가스가 4㎏ 이하일 경우 청정수소 인증을 받을 수 있다.

또 2030년 수소차 30만대 보급, 수소 충전소 660기 이상 구축을 목표로 수소버스 등 상용차 중심으로 수소차 보급 확대방안이 추진된다.

정부는 18일 서울 중구 롯데호텔에서 한덕수 국무총리 주재로 '제6차 수소경제위원회'를 열고 이 같은 안건을 심의했다.

이날 위원회에 정부 측에서는 한 총리를 비롯해 산업통상자원부, 기획재정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환경부, 중소벤처기업부 등의 장·차관이 참석했고, 민간위원 11명도 자리했다.

이날 상정·논의된 안건은 크게 ▲청정수소 인증제 운영방안 ▲수소산업 소부장 육성 전략 ▲수소전기차 보급 확대 방안 ▲국가 수소 중점 연구실 운영방안 등 4가지다.

청정수소 인증제와 관련해서는 청정수소 기준을 '수소 1㎏당 온실가스 배출량 4㎏ 이하'로 정했다. 청정수소 인증제는 수소 생산 전 과정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 배출량을 기준으로 등급을 매겨 탄소 배출량이 적은 수소를 인증하고 인센티브를 주는 제도다.

정부는 청정수소 기준이 제시됨에 따라 내년에 개설될 청정수소발전 입찰시장(CHIPS) 등 연관 제도 시행이 뒷받침되고, 기업들의 청정수소 관련 투자도 본격화할 것으로 전망한다.

정부는 또 오는 2030년까지 수소 소부장(소재·부품·장비) 산업의 육성을 위해 수전해, 액체수소 운반선, 수소 터빈 등 수소산업 10대 분야·40대 핵심 품목을 도출하고 공급망 강화 등을 지원하기로 했다.

이와 함께 2030년 수소차 30만대 보급, 수소 충전소 660기 이상 구축을 목표로 액화 수소 충전소, 융복합 수소 충전소 등을 늘릴 방침이다.

한편, 이날 위원회에 앞서 국내외 주요 수소기업 간 업무협약 3건도 체결됐다. LG화학, SK E&S, 효성중공업, 블룸에너지, SK에코플랜트 등 국내외 수요 대기업과 액화수소탱크, 전극소재, 분리판 등 주요 소부장 분야 국내 대표 기업들은 기술 개발과 공급망 구축 등에 협력하기로 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ESG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기사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하단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