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CES 참가 현대차∙기아, '수소 생태계 구축 집중'

  • 기자명 김현경 기자
  • 입력 2024.01.09 17:43
  • 댓글 0

SNS 기사보내기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정의선 회장 “수소는 후대 위한 준비”
수소연료전지 사업 확장∙수소생산 기술개발
넥쏘 후속 모델 ‘25년까지 출시 예정

현대차그룹의 미디어 데이 행사 모습. 가운데가 현대차 장재훈 사장. 사진=현대차그룹 제공
현대차그룹의 미디어 데이 행사 모습. 가운데가 현대차 장재훈 사장. 사진=현대차그룹 제공

[ESG경제=김현경 기자]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는 세계 최대 가전∙IT 전시회인 CES(Consumer Electronics Show) 2024 개막을 맞아 현대차그룹은 수소 생태계 구축을 위한 경영 포부와 세부 전략을 발표했다.

9일(현지시각)부터 개최되는 CES2024에 2년 만에 참가하는 현대차그룹은 전날인 8일, ‘수소와 소프트웨어로의 대전환: Ease every way’을 주제로 열린 미디어데이 행사에서 수소에너지 생태계 구축과 소프트웨어 기반의 대전환을 통해 '인간 중심적인 삶의 혁신'을 일궈나가겠다고 밝혔다.

특히 현대차그룹은 수소 생태계 구축에 집중해 수소에너지 대중화의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수소 사업을 계속 이어나가겠다는 의지를 표명했다.

이날 CES 현장을 방문한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은 '수소 대전환'을 참가 주제로 선정한 이유에 대해 "수소는 저희 대(代)가 아니고 저희 후대(後代)를 위해서 준비해놓은 것이 맞다"고 설명하며 수소 산업이 미래를 위한 지속가능 사업전략임을 강조했다.

CES 현장을 찾은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 사진=연합
CES 현장을 찾은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 사진=연합

장재훈 현대차 사장도 이날 기자들과의 인터뷰에서 "수소 (대중화가) 어렵다고 하는데 누군가는 해야 하고, 안 하면 뺏길 수 있다"며 "현대차그룹이 사명감을 갖고 진행하고, 속도는 여러 가지 부침이 있지만 과감하게 꾸준히 하려고 한다"고 말했다

이번 CES2024에서 현대차는 기존 연료전지 브랜드인 ‘HTWO’를 현대차그룹의 수소 밸류체인 사업 브랜드로 확장하겠다고 선언하며 수소의 생산, 저장, 운송 및 활용 등 수소 생태계로의 전환을 이끌 'HTWO Grid 솔루션'을 발표했다.

특히 수소 생산과 관련한 기술 개발로 현대차그룹은 그린수소 생산을 위해 수년내 매가와트(MW)급 PEM(고분자전해질막)수전해기 양산화를 목표로 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린수소는 신재생에너지를 이용해 탄소배출 없이 생산되는 수소를 말한다. 수전해는 물을 전기분해해 수소를 생산하는 기술로, 그 중 PEM수전해 방식이 그린수소 생산에 가장 적합한 방식으로 꼽히며 수소 순도가 높고 소형화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단위 가격이 높다는 게 단점으로 꼽히지만 기술 개발로 PEM의 가격이 낮아지고 있는 추세다.

더불어 현대차그룹은 음식물 쓰레기와 가축분뇨, 폐플라스틱 등 생활폐기물을 활용해 수소를 생산하는 ‘자원순환형 수소 생산기술’도 개발 중이라고 밝혔다. 수소전기차 분야 시장 입지 강화를 위해 넥쏘(NEXO) 후속 모델을 2025년까지 출시하겠다고도 밝혔다.

이날 현대차그룹의 미디어데이 행사장은 1000 명이 넘는 참관객을 모으며 뜨거운 관심을 끌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ESG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기사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하단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