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소전기차 넘어 수소연료전지 판매 확대
트램, 항만, 선박, 등 비차량 분야 사업 다각화

[ESG경제=김현경 기자] 현대자동차는 지난 16일 현대모비스의 국내 수소연료전지사업 일체를 인수한다고 밝혔다.
이를 통해 수소 리더십을 강화하고 및 수소 생태계 구축에 속도를 낸다는 방침이다. 현대차는 현대모비스와 체결한 사업 양수도 계약을 통해 현대모비스의 수소연료전지사업 설비, 자산뿐 아니라 연구개발(R&D), 생산·품질 인력 등도 함께 인수하게 된다.
이번 인수 결정은 현대차가 R&D, 현대모비스가 생산에 중점을 둔 기존의 이원화된 구조를 유기적으로 연결, 시너지를 창출할 수 있도록 통합하는 차원에서 이뤄졌다. 이를 통해 수소연료전지 기술 경쟁력을 확보하고 생산 품질을 높이는 것은 물론, 수소전기차뿐 아니라 수소연료전지 판매 확대로 수소 생태계 실현을 가속화할 계획이다.
현대차는 또 수소연료전지시스템 생산 효율을 높여 'R&D-생산-차량'으로 이어지는 가치사슬의 연결을 강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수소연료전지시스템은 수소전기차 가격과 연비 등 시장성에 큰 영향을 미치는 핵심 부품으로 꼽힌다.
이에 따라 현대차는 수소 관련 부품의 품질 향상으로 수소전기차 보급 확대를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수소전기차 넥쏘의 후속 모델을 2025년까지 출시하고, 발전과 트램, 항만, 선박, 미래항공모빌리티(AAM)와 같은 비(非)차량 분야에서 사업다각화 노력도 지속해나갈 예정이다.
앞서 현대차는 수소연료전지 사업뿐 아니라 수소 가치사슬 전 단계에 걸쳐 다양한 기술 개발과 투자를 통해 친환경 수소인 그린수소를 생산을 위한 수년 내 메가와트(MW)급 고분자전해질막(PEM) 수전해기를 양산하고 가격 경쟁력을 갖춘 수소도 생산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유기성 폐기물과 폐플라스틱을 수소로 전환하는 자원순환형 수소 생산기술 2종과 수소 저장·운송·활용 기술도 개발 중이다.
장재훈 현대차 사장은 "수소 생태계 핵심인 연료전지시스템의 R&D부터 제조까지 밸류체인 일원화를 통해 수소 모빌리티를 혁신시키고 이를 통해 수소 사회를 가속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 제네시스, ‘2024 캐나다 올해의 전기차’ 승용∙유틸리티 부문 동시 수상
- EU CBAM, 첫 의무보고 시한 2주 남아...국내 기업 대응은
- EU 산업별 ESG공시 2년 유예안, 의회와 회원국 합의
- 현대차, 탄소 흡수하는 ‘바다숲’ 조성에 20억원 투자
- 전기차 가격 인하 전쟁...업계, 실적도 주가도 ‘빨간불’
- 현대차, 친환경 아이오닉5N 콘셉트 NPX1 공개
- CES 참가 현대차∙기아, '수소 생태계 구축 집중'
- 정의선 현대차 회장, “글로벌 기업으로서 사회적 책임에 앞장서야”
- 기아, ‘EV페스타’ 실시... 전기차 구매 부담 완화
- 현대차·기아, 협력사 인재 채용 프로그램 실시
- 현대차, 브라질 전기차·수소사업 확장... 11억달러 투자
- 현대차그룹, 런던대와 '아프리카 미래성장 방안' 연구 협업
- 현대차, 수도권 대중교통 수소전환... KD운송그룹∙SK E&S와 맞손
- 현대차, 섬지역 포터EV 전기차 충전기·설치비 지원
- 현대차, 신형 아이오닉 5 출시... 전 트림 가격 동결
- 아이오닉6, 미국 내 신차 중 '연비 1위' 꼽혀
- 아이오닉5, 美 '2024 최고의 가족용 차' 선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