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부, 수소충전소ㆍ액화수소플랜트 등 방문해 애로사항 발굴

[ESG경제=이신형 기자] 정부가 ‘수소산업 규제혁신 민관협의체’를 구성해 수소산업 규제개선 과제를 상시 발굴, 개선에 나서기로 했다. 정부는 개선키로 한 과제는 신속히 제도화해 기업의 수소 사업 추진을 뒷받침할 계획이다.
산업통상자원부는 30일 이창양 장관 주재로 ‘수소산업 규제혁신 민관협의체’ 착수 회의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산업부는 “민관협의체 구성을 계기로 수소충전소와 액화수소플랜트 등 수소산업 현장을 방문해 현장에 숨어있는 애로사항을 적극 발굴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에 앞서 산업부는 지난 9일 수소 신제품과 설비의 안전기준을 선제적으로 마련하고 수소산업의 규제를 개선하기 위한 ‘수소 안전관리 로드맵 2.0’을 발표한 바 있다. 이 로드맵은 ▲수소충전소의 충전대상을 수소 자동차에서 지게차와 건설기계, 트램 등 다양한 수소 모빌리티로 확대 ▲실내충전 활성화를 위해 안전기준을 합리화 ▲수소버스 등 상용차용 액화수소 충전소 도입 ▲셀프충전 제도화 등 21개 수소충전소 관련 규제개선 등 내용을 담았다.

관련기사
- 분산에너지 시스템 구축 본격화...특별법 국회 통과
- 기후산업엑스포…기후변화 대응 기술에 큰 관심
- 수소 모빌리티 셀프 충전 허용...수소 안전규제 대폭 완화
- EU, CBAM 업종 무상배출권 ‘34년 폐지...6개 산업 우선 적용
- RE100 기업, 그린수소 발전 전력 직접 산다
- 액화수소 시대 열린다...연 4만톤 설비 연내 가동
- 국내 철강산업 저탄소화 본격 시동
- EU, 원전 쓴 수소도 '그린수소' 인정 움직임
- 산업부, 내년부터 안전기준만 준수하면 누구나 액화수소 생산
- 세계수소산업연합회 '서울 공동선언문'…"수소경제 실현 협력"
- 청정수소 5개 등급 이내로 구분 인증...수소법 시행령 개정
- '수소 1㎏당 온실가스 배출량 4㎏ 이하'면 청정수소로 인증
- 청정수소 인증제 종합 설명회: 산업통상자원부 주최
이신형 기자
shlee@esgeconomy.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