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내년 미국 해상풍력 발전 사업 부활 기대감

  • 기자명 이신형 기자
  • 입력 2023.12.28 12:45
  • 댓글 0

SNS 기사보내기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뉴욕주 등 사업자 입장 고려해 해상풍력 발전 사업 재입찰 추진
주요 사업자 조건 개선된 입찰 참여 계획

미국 해상풍력 발전 업계의 업황이 내년에 개선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사진=픽사베이
미국 해상풍력 발전 업계의 업황이 내년에 개선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사진=픽사베이

[ESG경제=이신형기자] 해상풍력 발전은 미국의 에너지부문 탈탄소화의 주역이 될 것으로 예상됐으나, 올해 들어 고금리와 원자재 가격 상승 등으로 사업비용이 급증하면서 추진하던 사업이 잇따라 좌초되는 시련을 겪었다. 하지만 미국 여러 주 정부의 해상풍력 사업 추진 의지가 확고한 가운데 내년에는 중단된 사업이 재추진되는 등 업황 개선이 예상된다고 로이터통신이 23일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올해 메사추세츠주와 코네티컷주, 뉴저지주에서 해상풍력 발전 사업자들이 사업 계약을 파기했고 다른 주에서 추진하는 사업도 철회 위기를 맞았다. 오스테드와 이퀴노어, BP 총 50억달러 규모의 해상풍력 프로젝트 사업 계약을 파기했다. 고금리와 원자재 가격 상승으로 계약서상의 전기 공급가격이 사업 추진 비용에도 못 미쳐 손실이 불가피하기 때문이다.

해상풍력 업계는 내년에는 뉴욕주와 뉴저지주, 메사추세츠주, 코네티컷주에서 계약이 취소됐거나 계약 취소 가능성에 직면한 사업이 재추진되기를 기대하고 있다.

에너지 컨설팅사 EBW 어낼리틱스 그룹(EBA Analytics Group)의 엘리 루빈 선임 에너지 애널리스트는 “입찰 가격이 상승할 수 있으나, 여러 주 정부가 청정에너지 확보 목표 달성에 전념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여러 주 정부가 해상풍력 사업자의 전기 공급가격을 올려주면서 사업성을 보장해줄 것이라는 얘기다.

주 정부 지원 나서

로이터에 따르면 오스테드의 라이언 헤르구손 대변인도 “주 정부의 정책이 계속해서 해상풍력 발전 수요를 늘릴 것”이라고 말했다. 지난달 뉴욕주는 해상풍력 사업자에게 기존 계약을 폐기하고 재입찰을 제안했다. 낙찰가를 높여 사업성을 보장해 주면서 중단된 사업을 재추진하겠다는 의지를 드러낸 것이다. 뉴욕주는 다음 달에 사업자를 선정할 예정이다.

뉴욕주는 오스테드와 BP, 이퀴노어가 연방준비제도이사의 금리 인상이 시작되기 전인 2019년과 2021년 쳬결된 해상풍력 발전 사업 계약을 취소하겠다는 의사를 밝히자 서둘러 새로운 입찰 계획을 발표했다.

뉴저지주에서도 세계 최대의 해상풍력 발전 업체 오스테드가 2건의 해상풍력 사업 철회를 발표하지 필 머피 주지사가 11월 주정부 당국자에게 재입찰을 지시했다.

기존 계약에 따라 이행되는 해상풍력 발전 사업도 있다. 뉴저지주에서 셸과 프랑스의 EDP 사업은 기존 계약에 따라 1510MW급 해상풍력 발전 사업을 계속 추진하고 있다. 버지니아주에서도 도미니언 에너지(Dominian Energy)가 2587MW 규모의 해상풍력 발전 사업을 기존 계약에 따라 계속 추진하고 있다.

메사추세츠주에서는 미국 유틸리티 기업 아반그리드(Avangrid)와 코펜하겐 인프라스트럭처 파트너(Copenhagen Infrastructure Partners)가 기존 계약에 따라 806MW 규모의 해상풍력 발전 사업을 이행하고 있다.

아반그리드는 지난해 코네티컷주의 804MW 해상풍력 발전 사업과 메사추세츠주의 1232MW급 해상풍력 발전 사업 계약을 파기했다. 아반그리드는 개선된 조건으로 실시되는 입찰에 다시 참여할 계획이다.

아반그리드의 켄 키멜 해상풍력 발전 사업 개발 책임자는 “내년에는 사업이 정상적으로 추진될 수 있는 입찰이 많이 이루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올해 계약 취소 등으로 타격을 입었던 오스테드는 내년 봄 704MW 규모의 해상풍력 발전 단지 착공에 들어갈 예정이다. 약 40억달러(5조1512억원)이 투입될 이 단지가 완공되면 로드아일랜드주와 코네티컷주에 전력을 공급하게 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ESG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기사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하단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