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식용유, 팜 부산물 등 바이오원료 정유 공정 투입 개시
친환경 석유화학 원료도 생산

[ESG경제=김현경 기자] 에쓰오일(S-OIL)이 바이오 원료와 폐플라스틱 열분해유 초도 물량을 정유 공정에 투입하기 시작했다고 29일 밝혔다.
에쓰오일은 폐식용유와 팜 부산물과 같은 바이오 원료와 플라스틱 열분해유를 기존 정유 공정에 원유와 함께 투입, 처리해 지속가능항공유(SAF)와 차세대 바이오디젤 등 저탄소 연료유를 생산할 것이라 밝혔다. 나프타, 폴리프로필렌 등의 친환경 석유화학 원료도 생산한다.
아울러 바이오 원료의 정유 공정 투입은 국내 정유사 중 최초라고 전했다.
에쓰오일은 지난해 7월과 12월 폐플라스틱 열분해유와 바이오 원료 처리에 대해 각각 규제 샌드박스 승인을 받았으며, 원료 투입 설비 설치 등 준비 작업을 마무리해 공정 투입을 시작했다.
이에 따라 향후 2년간 새로운 대체 원료의 혼합 비율을 조정해가면서 전체 제품 수율 변화와 공정 영향성 등을 평가하며 친환경 제품 생산량을 확대해 나갈 예정이라고 전했다.
에쓰오일은 글로벌 탈탄소 흐름에 대응하기 위해 2021년 삼성물산과 '친환경 수소 및 바이오 연료 사업 파트너십'을 맺은 바 있다. 지난해 12월에는 재활용 전문기업 DS단석과 친환경 저탄소 연료 및 화학제품 원료 공급망 구축을 위한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에쓰오일 관계자는 "친환경에너지, 화학 사업 본격화를 위해 대체 원료를 활용해 생산한 제품의 글로벌 저탄소 제품 국제인증(ISCC) 취득을 추진하는 한편, 탄소배출 감축 효과를 구체화하고 정부의 친환경에너지 정책과 순환 경제 구축에 기여하겠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 탄소중립 달성 위한 법안 국회 속속 통과
- 美, ‘지속가능 항공유’에 보조금…한국 정유업계에 영향
- EU 화석연료 메탄 배출 규제 임박...역외 기업에도 적용
- 팜유 혼합 SAF는 지속가능할까?... '국내, 독자적 원료 확보 필요'
- 인도네시아 ‘가루다 항공’, 팜유 섞은 항공유로 첫 상업비행 성공
- GS칼텍스-포스코인터, 인도네시아에 바이오원료 정제시설 건설
- 미국, 산업 부문 탄소 감축에 2억 5천만 달러 투자
- 지속가능항공유(SAF) 공급 부족, 항공사 기후 목표 위협
- 영국, SAF 의무혼합 비율 2030년까지 10%로 확대
- EIA, 올해 미국 SAF 생산량 전년비 14배↑…바이오 연료도 덩달아 증가
- 글로벌 항공∙금융사들, SAF 활성화 '맞손'...2억 달러 출자
- IAG, 스페인 에너지기업 ‘렙솔’과 SAF 2.8만톤 구매 계약 체결
- [ESG정책브리핑] ‘27년부터 국내 출발 국제선 SAF 1% 혼합 의무화
김현경 기자
news@esgeconomy.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