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美 교수들 “지속가능성, MBA 교육 핵심돼야” 주장

  • 기자명 이진원 기자
  • 입력 2024.02.15 16:54
  • 댓글 0

SNS 기사보내기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UCLA 앤더슨 경영대학원 교수들, HBR 기고 글서 주장
“기후공시 대응 위해선 전문 인재 육성 필수”
“다학제적 수업 통해 지속가능 인재 키워야”

사진=픽사베이
사진=픽사베이

[ESG경제=이진원 기자] 미국과 유럽 등에서 올해 기업들의 기후공시 규제가 강화됐거나 강화될 예정인 가운데 이런 변화에 잘 대응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춘 인재를 키우기 위해서는 MBA 경영대학원이 나서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기후관리와 지속가능성에 대한 전문 기술 수요가 늘어남에 따라 경영대학원들이 관련 기술을 가르칠 수 있는 커리큘럼을 개설해서 대응해줘야 한다는 뜻이다. 몇몇 기관을 중심으로 이런 대응 움직임이 최근 눈에 띄고 있으나, 전문성이 강한 경영대학원들이 직접 나서주는 게 더 교육 효과가 높을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이런 주장은 마갈리 델마스(Magali Delmas)와 브래드 스파크스(Brad Sparks) UCLA 앤더슨 경영대학원 교수들이 최근 ‘하버드 비즈니스 리뷰’에 기고한 ‘지속가능성이 MBA 프로그램의 핵심이 돼야 한다‘는 글에서 제기했다.

강해지는 기후공시 규제 움직임...전문 인력은 태부족  

현재 캘리포니아와 유럽연합(EU)은 이미 기업들에게 스코프 3(Scope 3·기업의 활동과 관련된 모든 간접적 탄소 배출량)을 포함해 기후 관련 재무 위험과 탄소 배출량 공시를 의무화하고 있다. 그리고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도 올해 4월 기후공시 기준을 확정하려는 등 전 세계적으로 기후공시 규제가 강화되고 있다.

캘리포니아에서는 기업이 2025년 직접 배출량을 2026년까지, 스코프 3 배출량을 2027년까지 각각 보고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규정을 준수하지 않는 기업은 연간 50만 달러(야 6.7억 원)에 달하는 벌금을 내야 할 수 있다. 기업은 기후 관련 재무 위험과 이를 완화하기 위한 계획을 공개하는 보고서도 준비해야 한다. EU의 강화된 공시 규제도 캘리포니아의 규제와 상당 부분 흡사하다.

SEC가 예정대로 올봄에 기후공시를 의무화하면 기업들은 이를 준수하느라 약 53만 달러(약 7억 원)의 돈을 투자해야 하는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많은 S&P500 기업이 팀에 추가 전문가를 고용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아마존은 이미 재무 부서 내에 새로운 ESG 보고 요건에 대응하기 위한 전문가를 배치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처럼 새로운 변화의 물결이 커지면서 기업들은 기후공시에 나서야 하지만 전문 인력 부족으로 공시의 품질이 떨어지고 있다는 게 두 교수의 지적이다. 이들이 경영대학원의 더 적극적 역할을 주문하는 것도 이런 이유 때문이다.

전문 인력 부족이 공시 혼란 초래 

두 교수의 조사에 따르면 지금까지 기업의 기후정보 공개 품질이 수준 이하이며, 필수 데이터의 공개가 저조하고, 공개 내용에도 혼선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예를 들어, 대기업은 종종 공장과 같은 배출원에서 직접 배출되는 탄소 배출량과 전기 소비로 인한 오염을 보고하나 총배출량의 4분의 3을 차지하는 간접 배출량은 거의 공개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됐다.

실제로 포천지 선정 300대 기업 중 스코프 3 배출량을 공개하는 기업은 61.2%에 불과하며, 발표하는 데이터조차 일관성 없이 보고되고 있어 기업 내 데이터 수집과 보고 역량이 개선되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델마스와 스파크스 교수는 이러한 문제 해결을 위해선 경영대학원들이 지속가능성 전문가에게 꼭 필요한 특정 기술을 포함하는 식으로 커리큘럼을 개편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두 교수는 이를 위해 환경 및 기후 과학에 대한 전문 지식과 탄소 회계와 전략 및 거버넌스와 같은 필수 비즈니스 기술을 혼합해 가르쳐야 하고, 지속가능성을 전문으로 하는 교수진을 적극적으로 채용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또 모든 과목에서 기후 변화와 관련된 지속가능성을 가르칠 것을 요구했다. 예를 들어, 전략 과목을 배우는 학생들에게 넷제로 전략을 정의하고 가치 사슬과 관련된 시간제한 목표를 설정하도록 도와야 하고, 금융 과목에서는 학생들에게 녹색 채권, 탄소 가격 책정, 지속가능성 연계 대출 및 전환에 중요한 기타 수단 등에 대해 가르쳐야 한다는 것이다. 더불어 학생들이 직접 데이터 수집과 분석에 참여할 수 있는 체험 학습을 제공해야 하는 것도 중요하다는 게 두 교수의 생각이다.

"경영대학원서 체계적인 수업 진행해야"  

두 교수는 경영대학원들이 커리큘럼 신설에 서둘러줄 것을 촉구했다.

경영대학원들이 숙련된 지속가능성 전문가를 찾는 고용주의 수요를 충족시키지 못함에 따라 회계법인과 무역협회가 그 공백을 메우기 위해 나서고 있는 게 현실이기 때문이란 게 이유다.

두 교수에 따르면 미국에서는 공인회계사협회(ACCA)와 글로벌 투자 전문가 협회인 CFA 인스티튜트가 기후 금융 과정을 개설했다. 컨설팅 회사인 딜로이트도 41만 5000명의 직원을 대상으로 글로벌 지속가능성 및 기후 학습 프로그램을 도입했다.

그러나 딜로이트는 “고객들은 지속가능성 문제, 기후 위기 해결을 위한 접근 방식, 우수한 기업 지배구조에 대한 더 많은 정보와 지침을 요구하고 있다”면서 “우리가 노력하더라도 잘 관리되고 기후에 초점을 맞춘 MBA 수업을 대체할 수는 없다”며 MBA 경영대학원 수업에 비해 수업의 질이 떨어질 우려가 있다는 사실을 인정했다.

두 교수는 UC 버클리의 하스(Hass) 경영대학원 등 몇몇 대학원에서 기후변화가 기업 활동에 미치는 영향 등을 수업을 개설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는 점을 언급하면서도 경영대학원들의 더 분발을 촉구했다.

경영대학원은 이를 위해 환경 과학, 탄소 회계, 전략적 거버넌스를 결합한 학제 간 과정을 더 많이 커리큘럼에 통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즉 다학제적 수업을 해야 한다는 뜻인데, 이는 환경과 기후 과학을 탄소 회계, 전략, 거버넌스 같은 전통적인 경영 기술과 통합한 교육 프로그램을 만들어 가르치는 수업을 말한다.

두 교수는 “새로운 변화에 적응하지 못하는 경영대학원은 도태될 위험이 있는 반면에 통합을 수용하는 경영대학원은 기업 지속가능성 분야의 차세대 리더를 양성하는 데 앞장서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ESG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기사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하단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