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국내 재생에너지 확충 위해선 "전력시장 전면 개편 필요”

  • 기자명 김현경 기자
  • 입력 2024.03.07 16:34
  • 수정 2024.03.07 23:57
  • 댓글 1

SNS 기사보내기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전력거래소, “확충 전력망 미미, 개통 여건 맞춰 시장 바꿔야”
현재의 단일시장∙단일가격 구조에서 전력시장 다변화 계획
“LMP, 수도권 및 비수도권 가격 구분 작업 올해 내 완료할 것”

6일 서울 플라자호텔에서 개최된 '청정에너지 확대에 따른 새로운 전력시장의 변화와 과제' 토론회 전문가대담 현장. 참석자는 (왼쪽부터) 옥기열 전력거래소 시장혁신처장, David Shipworth University College London 교수, 좌장을 맡은 전영환 홍익대 교수, 김희집 서울대 교수, 조홍종 단국대 교수, 김한국 GS EPS 정책팀장, 김자현 기후솔루션 연구원. (사진=ESG경제)
6일 서울 플라자호텔에서 개최된 '청정에너지 확대에 따른 새로운 전력시장의 변화와 과제' 토론회 전문가대담 현장. 참석자는 (왼쪽부터) 옥기열 전력거래소 시장혁신처장, David Shipworth University College London 교수, 좌장을 맡은 전영환 홍익대 교수, 김희집 서울대 교수, 조홍종 단국대 교수, 김한국 GS EPS 정책팀장, 김자현 기후솔루션 연구원. (사진=ESG경제)

[ESG경제=김현경 기자] 재생에너지 확충을 위한 전력시장 개편 방안과 관련, 전력거래소는 현행 단일 전력시장 체제에서 모든 전원별로 전력거래시장을 다변화하는 방향으로 장기 계획을 수립될 것이라고 밝혔다.

전력거래소 옥기열 시장혁신처장은 6일, 에너지전환포럼과 주한영국대사관이 공동주최한 ‘청정에너지 확대에 따른 새로운 전력시장의 변화와 과제’ 토론회에서 이같이 밝혔다. 

옥 처장은 전력망 확충 문제에 대해 수도권은 전력 수요과잉, 호남·충청·강원 지역은 공급과잉 지역이라며 "이런 공급과잉 지역에 엄청난 송전 요구가 있지만, 2001년 이후로 확충된 전력망이 아주 미미하다"고 말했다. 

따라서 "이런 계통 여건에 맞춰 전력시장을 바꿔야 하며 궁극적으로 넷제로까지 가려면 끊임없는 (시장) 개편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전력시장 개편 세부 방안에 대해 옥 처장은 “현재 (실계통기반) 하루 전 에너지시장 하나만 있는 상황에서 플래닝(수급계획)이나 시스템 오퍼레이션(계통운영)으로 처리하는 것을 시장 기반으로 전환시키야 한다"며 “모든 장기 시장을 전원별로 (개설하는) 퍼즐을 완성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오는 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서 그런 방향이 제시가 될 것으로 본다”고 덧붙였다. 

옥기열 전력거래소 시장혁신처장 6일 토론회 발표자료 중
옥기열 전력거래소 시장혁신처장 6일 토론회 발표자료 중

옥 처장은 현 전력시장 거래제도 개편 방향은 ▲양방향 가격입찰 ▲지역별 시장가격제 도입 ▲전력시장 다원화 ▲LNG와 같은 보조 전력 등 백업 자원의 수익성을 위한 맞춤형 전용시장 개설 등이라고 설명했다.

특히 지역별 시장가격제(또는 지역한계가격, LMP) 도입을 두고 그는 “지역한계 가격이 재생에너지 입지 시그널에 있어 매우 긴요한 상황”이라며 “계통 운영자가 일단 대비를 잘 해야 한다”고 말했다. 

LMP는 지역적인 수급불균형 상황을 반영하는 전력시장가격으로, 전국 단일 시장가격으로는 드러나지 않는 지역별 과부족 상황이 지역 단위 시장가격으로 다변화하는 효과를 갖는다. 이를 통해 발전소 및 수요처의 입지 분산을 유도할 수 있다.

현재 재생에너지 지역 편중 및 전력망 확충 문제로 지역적인 수급불균형이 심화하는 가운데 출력 유연성, 재생에너지 입찰제, 스토리지(저장장치) 확충과 같은 계통유연성 강화 조치와 더불어 지역가격제 도입으로 입지 신호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옥 처장은 설명했다. 

이를 위해 “수도권과 비수도권 가격을 먼저 쪼개는 1단계 작업을 올해 내에 완료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옥 처장은 밝혔다.

2단계 목표로는 “발전기별 내지 변전소별 서로 다른 가격을 부여하는 ‘발전기별LMP’까지 도입하는 걸 목표를 잡고 있다”며 “처음엔 (목표가) 2025년이었지만 2030년까지 해도 충분히 빠르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아울러 “이를 빨리 하려면 전력거래소를 굉장히 비상한 체제로 바꿔야 하지만 지금 현재로는 안된다”고 덧붙였다.

옥기열 전력거래소 시장혁신처장 6일 토론회 발표자료 중
옥기열 전력거래소 시장혁신처장 6일 토론회 발표자료 중

이날 토론자로 참여한 김자현 기후솔루션 전력시장부문 연구원은 “(지금까지) LMP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지 않았는데 지난해 분산에너지법 통과로 어떻게 이 제도를 발전시켜야 하느냐에 대한 세부 논의와 타임라인이 나온 것”이라고 ESG경제에 말했다. 

그러나 이날 나온 전반적인 전력시장 개편 방향에 대해 “나아가야 하는 방향인 건 맞지만, 근본적인 변화는 아니라고 본다”며 재생에너지 발전사업자와 기존 전력사업자 간의 불공평이 발생하는 등 "재생에너지의 공정 경쟁을 위해 (한국전력 유일의 수직 독점형 전력시장 구조를 바꾸는) 기존 전력시장 구조 개편이나 거버넌스 개편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한편 정부는 올해 상반기 안으로 제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을 발표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이 계획은 올해부터 2038년까지 적용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ESG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기사 댓글 1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댓글목록
최신순 추천순  욕설, 타인비방 등의 게시물은 예고 없이 삭제 될 수 있습니다.
케리 2024-03-09 09:10:44
전력시장 개편이 중요한게 아니라 신재생에너지 생산하고도 버리려는 멍청한짓부터 어떻게 수습해라. ESS를 활용하던 ppa계약을 일반기업체와 직접체결하여 re100달성 지원을 하던가..
주요기사

하단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