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배구조 내부규범 개정 공시...후진 위해 용퇴 '만 70세 룰' 깨져

[ESG경제신문=김대우 기자] 하나금융지주가 지배구조 내부규범을 개정하면서 임기중 만 70세가 도래하더라도 '이사 임기 3년'을 보장하는 쪽으로 규정을 바꿨다. 이에 따라 내년 3월 임기 만료되는 함영주 현 회장이 연임 시 첫 적용을 받게 됐다.
11일 금융권에 따르면 하나금융은 전날 이같은 내용을 담은 지배구조 내부규범 개정 사항을 공시했다. 하나금융은 이번 규범에서 '이사의 재임 연령은 만 70세까지로 하되 재임 중 만 70세가 도래하는 경우 최종 임기는 해당 임기 이후 최초로 소집되는 정기주주총회일까지로 한다'고 정했다. 애초 '해당일 이후'로 돼 있던 부분을 '해당 임기 이후'로 변경한 것이다.
기존 규범에 따르면 현재 만 68세인 함 회장은 연임하더라도 만 70세 이후 첫 주총이 개최될 2027년 3월까지 2년만 재임할 수 있었지만 이번 개정으로 연임 시 2028년 3월까지 임기를 다 마칠 수 있게 됐다.
회사 측은 "만 70세 재임 연령 기준은 유지하되 주주총회 결의 등을 통해 부여한 이사의 임기를 보장해 사업의 연속성과 안정성을 도모하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이번 내부 규범 개정으로 하나금융그룹에 존재하던 이른바 '만 70세 룰'이 깨졌다. 그동안 아무리 공이 많고 실적이 좋아도 만 70세가 넘으면 후진을 위해 용퇴하는 게 관례처럼 정착됐으나 이제 변화를 맞게 됐다.
관련기사
- 4대 금융, 일제 비상계엄 사태 긴급회의…"환율·유동성 리스크 점검"
- KB금융·신한지주·현대차·KT·우리금융...ESG평가 'S‘ 등급 최우수
- KB금융지주, 금융소비자 관심도 1위…우리·신한·하나금융 順
- KB국민은행 법률비용 업계 최저 수준...ESG와 상관관계는
- 밸류업 지수 논란...'저PBR' KB금융·KT 빠지고 '고PBR' 깜짝 편입
- 하나은행, 10월 12일 가수 임영웅과 자선 축구대회 개최
- 하나금융, 지난해 ESG 활동으로 5.4조 사회적 가치 창출
- 함영주 하나금융 회장 연임 탄핵정국에 '순풍'?...차기 회장 '숏리스트' 5명 압축
- 하나은행, 만40세부터 희망퇴직 받는다…"최대 31개월치 임금 지급"
- 하나금융 회추위, 함영주 회장 연임 결정...임기 28년까지
- 하나금융그룹 MSCI ESG 평가서 최고등급 'AAA' 획득
- 하나금융, 장애인 생애주기별 통합 지원 나섰다
- 함영주, 금융지주 수장 '글로벌 경영' 관심도 1위...양종희·진옥동順
- 하나금융 외국인 주주, 함영주 회장 연임 압도적 지지
- 하나금융 함영주 연임 내일 확정...금융지주 주총 이번주 개막
- 함영주 하나금융 회장 연임…"미래금융·기술혁신 경쟁력 강화"
- 하나금융, 청년 창업가 발굴·육성 프로그램 4기 모집
김대우 기자
dwkim@esgeconomy.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