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일 탄소배출권거래소 설립, 국경간 배출권 거래도 추진
내년 하반기 중 탄소세 도입 계획...재생에너지 확대 노력

[ESG경제=이신형기자] 반도체 강국 대만이 탄소 감축에 속도를 내고 있다. 지난 3월 2050년 탄소중립 달성을 뒷받침할 기후변화대응법을 제정한 데 이어 7일 카오슝에 탄소배출권거래소를 설립했다. 대만은 내년 하반기에는 탄소배출 기업에 탄소세를 부과한다는 계획도 세웠다.
대만의 이런 움직임은 애플이나 구글 등 공급망의 최상위에 있는 기업들이 공급망에 속한 기업들에게 점점 더 강하게 탄소 감축을 요구하는 것에 대한 대응의 성격을 띄고 있다. 유럽연합(EU)의 탄소국경조정제도 도입 또한 대만의 탄소 감축 정책 추진의 배경이 되고 있다.
대만 언론 포커스 타이완의 보도에 따르면 이날 대만 수도 타이페이에서 차이잉원 총통이 참석한 가운데 탄소배출권거래소 개소식이 열렸다. 대만 탄소배출권거래소는 안정적인 탄소 비용에 대한 대만 기업의 우려를 해소하기 위해 탄소시장 관련 이슈는 물론 탄소세 등에 관한 상담 서비스를 제공하고 시장이 안착할 수 있도록 인재 풀 육성에도 나설 계획이다.
차이잉원 총통은 대만의 탄소 감축을 위해 다른 나라 배출권거래소와 협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탄소 감축 추진으로 4조 대만달러의 민간투자와 5.9조 대만달러의 생산가치를 유발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와 관련, 탄소배출권거래소 이사장을 겸직할 셔먼 린 대만 증권거래소 이사장은 신뢰할 만한 해외 기관과 협력해 질 높은 배출권의 국경간 거래를 추진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린 이사장은 "대만은 반도체와 정보통신, 섬유, 금속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국제적으로 매우 높은 경쟁력을 유지하고 있다"며 “애플이나 구글을 포함한 고객사의 탄소 감축 요구가 점점 더 커지고 있어 (탄소 감축에 나서지 않으면) 공급망에 속한 대만 기업들의 어려움이 커질 것”이라고 말했다.
대만 정부는 지난 3월 2050년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로드맵을 발표했다. 로드맵에 따라 대만은 2050년까지 전력의 60~70%를 재생에너지 발전으로 생산하고 9~12%는 수소로, 20~27%는 탄소포집 설비를 갖춘 화석연료 발전으로 생산할 계획이다.
내년 초 탄소세 도입 방안 공개 예정
한편, 포커스 타이완에 따르면 대만은 탄소배출권거래제 시행에 이어 내년 말로 에정된 탄소세 도입을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내년 초에 내놓을 예정이다. 시민단체들은 톤당 약 500 대만달러(약 2만700원)의 탄소세를 부과해야 한다고 제안했으나, 대만 정부는 아직 구체적인 수준을 언급하지 않고 있다.
린 이사장은 전 세계적으로 탄소중립이 추진되는 이 시대에 탄소배출권거래제나 탄소세를 포함하는 탄소가격제가 필요한 정책 수단이 되고 있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 RE100 기업 직접 PPA 관심 고조...전기요금 올라 구매 매력 커져
- 전문가들, EU 탄소배출권 가격 전망치 하향 조정
- EU CBAM 이행법안, 국내 탄소배출량 산정 방식 한시적 인정
- EU CBAM 도입과 ETS 개편, "국내 탄소배출권 가격 상승 요인"
- EU 이사회, CBAM 도입‧ETS 개편 법안 최종 승인
- EU, CBAM 업종 무상배출권 ‘34년 폐지...6개 산업 우선 적용
- EU 탄소국경세 도입 임박했는데...한국 등 아시아 국가들 대응은 "안일"
- 한국 철강산업, EU와 미국 탄소국경세 '직격탄'...도입 즉시 과세 대상 전망
- 아시아 탄소 가격제 유명무실...한국 2026년부터 유상할당 확대
- 인도네시아, 외인 투자자 역내 탄소배출권 거래 허용
- 룰라의 브라질, 탄소감축 드라이브...탄소배출권거래제 도입, 지속가능국채 발행도
- 삼성전자‧TSMC, 탄소감축 쉽지 않네...아시아 반도체업체들 RE100 '한숨'
- EU, 올 상반기 화석연료 발전 비중 33%...사상 최저
- 자발적 탄소시장 신뢰 떨어져...배출권 거래 줄고 가격 급락
- 일본, 도쿄증권거래소서 10월부터 탄소배출권 장내 거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