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품별 탄소배출량 산정 방식은 추후 마련
산업부, 보고의무 대비해 설명회와 실무 교육
[ESG경제=이신형 기자] 유럽연합(EU) 회원국으로 구성된 이사회가 25일 탄소국경조정제도(CBAM) 도입과 탄소배출권거래제(ETS) 개편 법안을 최종 승인했다. 이로써 2030년까지 탄소 배출량을 1990년 대비 55% 줄이기로 한 유럽연합(EU)의 ’핏 포 55(Fit for 55)'의 입법 패키지가 마무리됐다.
관련기사
- EU, CBAM 업종 무상배출권 ‘34년 폐지...6개 산업 우선 적용
- 정부, NDC 탄소포집 목표 늘려...10억톤급 저장소도
- EU, '30년 재생에너지 비중 목표 42.5%로 올려...한국은?
- NDC 산업부문 탄소감축 목표 완화...국외 감축은 늘려
- 철강 등 탄소배출 4대 업종에 저감기술 개발 지원
- 정부, 재생‧수소‧원전 등 에너지 기술개발에 1.2조 투자
- 인도네시아, 올 하반기 탄소배출권거래제(ETS) 도입
- EU CBAM 도입과 ETS 개편, "국내 탄소배출권 가격 상승 요인"
- EU CBAM 이행법안, 국내 탄소배출량 산정 방식 한시적 인정
- 무협 "EU, 탄소세로 역외기업 차별 말아야"…의견서 전달
- 전문가들, EU 탄소배출권 가격 전망치 하향 조정
- 반도체 강국 대만 탄소 감축에 속도...“애플‧구글 등 요구“
- 인도네시아, 외인 투자자 역내 탄소배출권 거래 허용
- 탄소배출권, 주식처럼 증권사서 위탁 거래...선물 및 ETF 상품도 출시
- EU, 이달부터 탄소국경조정제 시범실시…中企 78% "잘 몰라요"
- 영국도 '27년부터 탄소국경세(CBAM) 도입
- 런던금속거래소, ‘25년까지 알루미늄 제조업체 탄소 배출량 공개 의무화
- 美 청정경쟁법, “대선 상관없이 통과 유력...국내 2.7조 비용 유발”
- EU, CBAM 대상 자국 산업 지원방안 검토...드라기, 무상할당 폐지 연기 권고
- EU CBAM 완화해도 배출량 기준 99% 제품이 과세 대상
- EU, CBAM 대상 산업 ETS 업종으로 확대 여부 평가하기로
이신형 기자
shlee@esgeconomy.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