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 입찰 수량의 15% 이내에서 15% 이상, 30% 이하로 확대
[ESG경제=이신형기자] 정부는 온실가스 배출권 유상할당 경매에서 업체별로 낙찰 받을 수 있는 한도를 종전의 입찰일 입찰 수량의 15%이내에서 “15% 이상, 30% 이하”로 확대하기로 했다.
관련기사
- 탄소배출권 거래법 개정...유상할당 비율 확대 취지 담겨
- 독일, 탄소배출권 판매 수입 26조원으로 사상 최대
- 정부, 배출권거래제 참여 기업 탄소감축사업 지원 축소
- 정부, 탄소배출권거래제 손 본다...NDC 달성 '빨간불' 고려
- 탄소배출권, 주식처럼 증권사서 위탁 거래...선물 및 ETF 상품도 출시
- EU CBAM 이행법안, 국내 탄소배출량 산정 방식 한시적 인정
- EU CBAM 도입과 ETS 개편, "국내 탄소배출권 가격 상승 요인"
- EU, 탄소국경세 적용 업종의 무상배출권 폐지 합의
- 탄소배출권 시장조성자 7개로 늘린다
- [COP27] IOSCO, 탄소배출권시장 발전 위해 '유상할당' 확대 권고
- EU 탄소국경세 도입 임박했는데...한국 등 아시아 국가들 대응은 "안일"
- 한국 철강산업, EU와 미국 탄소국경세 '직격탄'...도입 즉시 과세 대상 전망
- 녹색프리미엄 통한 온실가스 감축이 "그린워싱”?
- 포스코 청년 주주, 탄소비용 주가에 영향… 장인화 회장 후보에 ‘기후 리더십’ 촉구
- 환경부, 탄소배출권 인증 절차 간소화
- ‘23년 EU ETS 배출량 15.5% 감축...사상 최대
- EU 탄소배출권 가격 상승 전망..."올 평균 가격 톤당 67.2유로"
- 국내 탄소배출권 선물시장 연내 개설 어려울 전망
이신형 기자
shlee@esgeconomy.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