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생에너지 보급 급증으로 발전 부문이 감축 주도
EU, ETS 통해 '30년까지 탄소 배출량 62% 감축 목표
EU 집행위, 목표 달성 향해 순항 중
국내 ETS 개편 필요성 제기돼
[ESG경제=이신형기자] 유럽연합(EU)의 지난해 탄소배출권 거래제(ETS) 대상 산업의 탄소 배출량이 전년대비 15.5% 감소, ETS가 도입된 2005년 이후 가장 큰 폭의 감축 실적을 기록했다. EU ETS는 현재 EU 전체 탄소 배출량의 47%를 담당하고 있다.
관련기사
- 환경부, 탄소배출권 인증 절차 간소화
- 온실가스 배출권 업체별 유상할당 낙찰수량 한도 확대
- 국힘, “원전∙재생에너지 균형 확충” 공약… 환경단체, “재생에너지 보급 의지 아쉬워”
- 세계 탄소배출권 시총 작년 1200조원… 사상 최대
- 탄소배출권 거래법 개정...유상할당 비율 확대 취지 담겨
- 독일, 탄소배출권 판매 수입 26조원으로 사상 최대
- 정부, 배출권거래제 참여 기업 탄소감축사업 지원 축소
- 정부, 탄소배출권거래제 손 본다...NDC 달성 '빨간불' 고려
- 환경부, "EU식 탄소배출권 예비분제도 마련하겠다"
- 탄소 배출권 판매 수익 740억달러... 사상 최대
- 일본 22/23 회계연도 온실가스 배출량 사상 최저
- 잉글랜드, 국토 3% 면적에서 재생에너지 전력 13배 생산 가능
- '23년 세계 석탄 발전 2% 증가···한국, ‘15년 이후 '최고치'
- 주요국 탈탄소 철강 정책 평가… 한국, 11개국 중 8위 '바닥권'
- 영국, ETS 대상에 폐기물 포함 제안… 대기 중 탄소 제거도 고려
- OECD, 민간부문 석탄산업 투자 금지 추진
- "EU CBAM 본격 시행되면 '40년 철강업계 부담금 1910억원”
- EU, 저소득 회원국 청정에너지 프로젝트에 32억 달러 투자
- NDC 산업부문 감축목표 강화 여지 충분..."석유화학 부문 배출량 과다 추정”
- 골드만삭스 "EU ETS 배출권, '28년 톤당 130유로까지 2배 급등"
- 한국 탄소배출권 과잉 공급 '25년에도 지속 전망
- 정부, 탄소배출권 이월 한도 5배로 완화...연내 시행
이신형 기자
shlee@esgeconomy.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