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ESG정책브리핑] 경기도, 기업∙가정서 생산한 '자가소비형 REC' 거래 플랫폼 구축

  • 기자명 김현경 기자
  • 입력 2024.05.09 11:08
  • 수정 2024.05.09 11:09
  • 댓글 0

SNS 기사보내기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재생E∙수소∙원전 등 모인 ‘에너지단체정책협의회’ 출범

사진=경기도 제공
사진=경기도 제공

경기도, ’자가소비형 재생에너지 발전량 인증서' 거래 위한 첫 플랫폼 구축

경기도가 국내 처음으로 자가소비형 재생에너지 발전량 인증서를 거래할 수 있는 플랫폼을 구축한다.

도는 8일 플랫폼 개발사인 식스티헤르츠, 재생에너지 거래를 지원할 현대건설 및 엔라이튼 등과 '경기 RE100 거래 플랫폼 구축 업무협약'을 맺었다. 플랫폼이 구축되면 기업과 가정 등에서 자가소비를 위해 생산한 재생에너지 발전량에 대해 도가 인증해 주고 RE100(재생에너지 100%) 참여 기업들은 재생에너지공급 인증서(REC)를 구매해 재생에너지 생산 비중을 늘릴 수 있게 된다.

REC는 재생에너지 사업자에게 정부나 지자체가 재생에너지 전력 사업자에게 발급하는 전력 생산 인증서다. 이를 구매한 기업은 재생에너지 전력을 사용한 것으로 인정 받는다. 재생에너지를 생산하는 기업과 가정은 전기요금 절약과 함께 REC 판매로 추가 이익을 거둘 수 있다.

그동안 REC는 한국에너지공단에서 발급하는 것이 유일한 데다, 기업이나 가정에서 생산해 직접 사용하는 재생에너지에 대해서는 REC가 발급되지 않는 한계가 있었다.

도는 이달부터 플랫폼 실증에 들어가 연말까지 플랫폼 구축을 마치고 재생에너지의 시간 단위 인증도 가능한 체계를 마련할 예정이다. 또한 사회복지시설 등 취약계층 에너지 복지 사업과 연계해 실증 사업을 추진하고 향후 타 지자체와의 협업으로 사업을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재생E∙수소∙원전 등 모인 ‘에너지단체정책협의회’ 출범 

전력, 원전, 재생에너지, 수소 등 에너지 산업 관련 민간단체들이 목소리를 모아 정부에 전달하고 수출 확대 등 발전 방향을 모색하기 위한 협의체가 출범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9일 서울 중구 콘퍼런스 하우스 달개비에서 '에너지단체정책협의회 출범식'을 열고 에너지산업 수출 활성화 방안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협의회는 민간발전협회, 집단에너지협회, H2KOREA, 원전수출산업협회 등 15개 민간 협회·단체가 주도하는 기구로, 에너지산업 현안과 관련한 업계 애로를 취합하고 정책 대안을 모색하기 위해 결성됐다.

매달 정례회의를 열어 현안을 논의하고 정책 대안을 정부에 건의하는 등 민관 협력 추진을 위한 통로 역할을 할 계획이다. 또 추후 에너지산업 대표단체인 '에너지산업연합회'(가칭)를 설립하는 방안도 검토할 예정이다. 

한편 산업부는 이날 회의에서 에너지산업이 탄소중립과 에너지 안보 강화 등의 환경 속에 새로운 수출산업으로 주목받고 있다며 에너지산업 수출 활성화를 위한 지원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구체적으로 산업부는 해외 판로 개척 및 마케팅 지원에 나서고 국제협력을 기반으로 유망 기업의 해외 진출을 지원하겠다고 했다. 아울러 에너지신산업에 대한 규제샌드박스 지원을 강화하고 인재 육성 및 원천기술 개발을 지원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ESG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기사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하단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