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산 과잉으로 가격 하락...미국 등 관세 폭탄으로 위기 직면
수립된 투자계획 1000억달러 돌파, 최소 130개 프로젝트 추진
동유럽, 북아프리카, 중앙아시아 투자 몰려...글로벌 에너지 전환 기여

[ESG경제신문=김연지 기자] 중국의 클린테크(재생에너지·전기차·배터리 등) 기업들이 자국 내에서 벌어지고 있는 치열한 가격경쟁과 미국과 유럽연합(EU)의 견제 속에서 살아남기 위해 해외 직접 투자를 늘리고 있다.
호주의 기후 싱크탱크인 기후에너지금융(Climate Energy Finance)은 2일 ‘녹색 자본의 쓰나미’라는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분석했다. 지난해부터 중국 청정에너지 기업들의 지난해부터 올해 현재까지 수립된 해외 클린테크 투자 계획이 1000억 달러 규모를 넘어가며 글로벌 에너지 전환을 가속화하는 효과가 발생하고 있다고 보고서는 분석했다.
중국 청정에너지 기업들의 해외 투자는 중국 내 생산능력 증가로 태양광 패널과 같은 청정에너지 관련 제품과 기술이 과잉공급되고, 이로 인해 국내시장에서 청정에너지 제품 가격과 수익률이 끝없이 하락하는 치킨게임 국면에서 이뤄졌다. 밖으로는 미국과 EU이 중국산 청정에너지 관련 제품들에 높은 관세를 부과하며 중국의 가격경쟁력이 위기에 처하기도 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 청정에너지 기업들은 이러한 복합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지난해 이후 최소 130건의 클린테크 투자 계획을 발표하고, 1000억 달러 이상의 해외 직접 투자(OFDI)를 약속한 것으로 추정된다. 중국 기업들의 이러한 투자 프로그램은 유럽, 아시아, 아프리카 및 남미에 고루 포진돼 있다. 특히 중국은 미국과 EU의 관세 제재를 피하기 위해 동유럽, 북아프리카, 중앙아시아 지역에 대한 투자를 크게 늘렸다.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은 2023년 유럽부흥개발은행(EBRD)의 투자대상국 36개국에서 이뤄진 그린필드형 투자의 39%를 차지하고 있다. 이같은 중국의 비중은 2022년 5%에서 8배 증가한 수치다. 반면, 미국과 독일은 2023년에 각각 8%에 불과했다.
그린필드형 투자란 해외 투자시 기업 스스로 부지를 확보하고, 공장 및 사업장을 설치하는 외국인직접투자(Foreign Direct Investment, FDI)방식을 말한다. 투자자입장에서는 투자비와 시간이 많이 소요되지만 투자를 받는 입장에서는 고용창출효과가 크고 기술이전을 받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미 건설되어 있는 공장이나 회사를 사서 진출하는 브라운필드 투자 방식과 상반되는 형태이다.
보고서에 따르면 이러한 투자 프로그램은 중국 청정에너지 기업들의 태양광 패널과 배터리 공장 건설부터 수력 발전 댐과 송전선까지 다양한 클린테크 분야를 기반으로 한다.
보고서의 저자로 참여한 쉬양둥 에너지 정책 분석가는 "중국 기업이 다른 국가에 생산시설을 건설하면 기술, 전문성, 자본, 경험뿐만 아니라 지역 노동시장 확대와 다른 국가들의 국내 에너지 전환 촉진 기회를 가져온다"면서도 “발표된 투자 중 일부는 해외 진출을 촉진하는 압력과 동일한 수준으로 기업의 재무상태를 약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실현되지 않을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또한 "중국이 (중국 내 청정에너지 관련 제품) 과잉생산을 전 세계적으로 고르게 배치할 수 있기를 바란다"면서 “이는(청정에너지 분야 투자)는 2015년 파리 협정에서 글로벌 사우스(남반구에 위치한 개발도상국들을 통칭)의 핵심적인 요청이기도 했다"고 분석했다.
관련기사
- 캐나다도 관세 폭탄 투하...중국산 전기차 수출 길 '첩첩산중'
- 위기의 중국산 바이오디젤, EU 관세폭탄에 수출 51% 급감
- 한화큐셀 등 미 태양광 패널업계, 베트남‧태국산에 관세 소급부과 요구
- EU, 중국산 바이오디젤에 최대 36.4% 반덤핑 관세 부과
- 중국, EV·배터리·태양광 등 신산업이 성장 주도...‘26년 GDP 23% 차지
- EU도 중국 전기차에 최대 48% 관세 부과...기업별로 세율 달라
- 높아지는 미국의 대중 무역장벽…국내 기업 반사이익 기대
- 미국, 동남아 태양광 패널 수입 관세 복원…사업자 무관세 재고 물량 소진해야
- EU, 수소 보조금 제도 바꿔...중국산 부품 25% 초과 금지
- EU, 중국산 전기차에 45.3% 관세 부과 확정... 보호무역주의 확산 우려
- 드라기 보고서 뜯어보니, "EU, 미국 중국과 경쟁에 연간 8000억 유로 투입해야"
- 독일, 풍력발전 지원 정책 패키지 발표...사이버 보안규제 강화
- 벤츠, 유럽 최초 배터리 재활용 공장 가동
- 美, 태양광 웨이퍼에 세액공제 혜택…태양광 공급망 구축 지원
- 투자금 줄고 수익률 하락하고...클린테크 분야에 찬바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