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ESG경제=김강국 기자] 최근 이차전지 수요 둔화는 과도기의 단기 성장통으로 내년 이차전지 관련 6개사 영업이익이 올해보다 39% 증가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KB증권의 이창민 연구원은 28일 "고금리 지속과 중국·유럽의 보조금 삭감 등으로 내년 전기차용 이차전지 수요가 기존 추정치 대비 5.8% 감소할 것“이라면서도 "최근 수요 둔화는 초고성장 구간에서 안정적인 성장 구간으로 접어드는 과도기의 단기 성장통”이라고 설명했다. 전기차·배터리 시장의 중장기 성장 기대감은 앞으로도 훼손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 연구원은 성장 전망의 근거로 내년 2분기 이후부터 영업환경이 개선되고 올해 4분기를 바닥으로 리튬 가격 하락세가 진정되면서 이익 기저가 낮은 양극재 업체들의 수익성 개선이 가능하다는 점을 꼽았다.
이러한 전망에 기초해 이차전지 업체인 에코프로비엠, 삼성SDI, 포스코퓨처엠, 엘앤에프, SK아이이테크놀로지, 더블유씨피 등 6개 업체의 합산 영업이익은 올해보다 39% 증가할 것이라는 이 연구원의 분석이다.
그는 "이차전지 업종 내 선호도는 배터리 소재보다 셀 업종이 높다"며 삼성SDI를 최선호주로 꼽으면서 "전기차 판매 호조세가 지속돼 실적 안정성이 뛰어나지만, 전기차 업황에 대한 우려가 다른 업체와 동일한 수준으로 주가에 반영돼 밸류에이션(평가 가치) 매력이 부각된다"고 분석했다.
이 연구원은 엘앤에프를 관심 종목으로 제시하며 "경쟁사 대비 밸류에이션 레벨이 낮고 테슬라 사이버트럭에 대한 본격적인 판매로 실적 반등이 전망된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 LS MnM, 울산에 이차전지소재 복합공장 짓는다…6700억원 투자
- "중국, 흑연 세계 점유율 91%"…산은, 핵심광물 공급망 보고서
- 포스코인터내셔널 "2030년 친환경소재사업 매출, 올해보다 두배로"
- 포스코인터내셔널, 아프리카서 음극재용 흑연 연 9만t 확보
- ‘이차전지’ 민관 협의회 출범…"2030 차세대 전지 1등 국가로"
- 한화에어로, 美 이차전지 스타트업 '포지나노'에 투자
- '꿈의 배터리' 전고체 개발에 1172억원 투자…예비타당성 조사 통과
- 전기차 충전기산업, 2030년 세계점유율 1.2→10%로
- LG화학, 북미 최대 2차전지 양극재 공장 착공…연간 6만t 생산
- KB증권, 나눔 통한 돌봄·상생 실현...ESG 경영 적극 실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