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자 기후변화 완화 더불어 적응 관련 기술 보유 기업에 관심
삼성증권, "공시 의무화로 정보 늘어나 금융상품 개발 활발할 것"
[ESG경제신문=이신형기자]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가 기후공시 기준을 확정하고 오는 2026년부터 단계적으로 공시를 의무화함에 따라 ‘기후변화 적응’ 및 ‘회복력’과 관련한 금융상품 개발이 활발해 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관련기사
- 미 SEC의 ESG공시, 스코프3 빠졌다고 우습게 봤다간 '큰코'
- SEC 기후공시 안착하려면...소송 등 '넘어야 할 산' 남아
- 미 SEC, 기후공시 기준 확정...스코프 3 배출량 제외
- 미국 기업 단체, 캘리포니아 기후 공시법 무효화 소송 제기
- 국내 상장사들, "이사회 독립성·다양성 여전히 매우 미흡"
- 국내 ESG 공시 기준 스코프3 유예 가닥...SEC 보다 ISSB 기반으로
- 미 법원, SEC 기후공시 효력 정지 판결
- 주요국 중앙은행, AI 활용해 기후 리스크 정보 수집
- 패시브 ESG 펀드 중 70%, 화석연료 개발 기업에 투자
- 미국 기후공시 운명은? SEC 소송 보수 성향 법원에 배정
- 올해 미국 기후 관련 주주제안 사상 최다 기록
- SEC, 기후공시 도입 일단 보류...소송에는 적극 대응
- 대다수 국가 ESG공시 법정공시로 의무화...곧 나올 KSSB 기준은?
- 美 SEC, 기후공시 의무화 반대 소송에 적극 대응 천명
- 미국 항소법원, 의결권 자문사 규제 완화한 SEC 손들어줘
이신형 기자
shlee@esgeconomy.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