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EU 참여한 정의로운 에너지전환 파트너십, 남아공에 총 93억 달러 지원
남아공 석탄 비중 80% 달해...석탄 의존도 낮추고 재생에너지 확대에 지원금 쓰일 것

[ESG경제신문=김연지 기자] 남아프리카공화국(이하 남아공) 재무부는 지난 15일 부유국들과 맺은 기후 재정 협정을 통해 올해 최대 24억 달러가 남아공으로 유입될 것으로 예상한다고 밝혔다.
남아공은 지난 2021년 ▲미국 ▲유럽연합(EU) ▲일본 ▲캐나다 ▲영국 등 9개국과 정의로운 에너지 전환 파트너십(Just Energy Transition Partnership, 이하 JETP)을 체결했다. 남아공은 JETP를 통해 보조금, 대출, 보증의 형태로 93억 달러의 지원을 약속받았다. 지원금은 전체 전력 생산의 약 80%를 석탄 발전이 차지하고 있는 남아공의 석탄 의존도를 낮추는 데 쓰일 예정이다.
JETP는 선진국이 개발도상국의 에너지 전환을 재정적, 기술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결성한 네트워크다. 온실가스 배출량이 많은 개도국의 석탄발전을 단계적으로 폐지하고, 재생에너지 공급을 확대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지난 2021년 영국 글래스고에서 열린 ‘제26차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6)’에서 공식적인 활동을 시작했으며 남아공과의 협정을 시작으로 인도, 베트남, 세네갈, 인도네시아 등이 추가 지원 대상에 선정됐다.
JETP가 협정을 맺은 개발도상국들은 화석 연료에 대한 의존도를 낮춘다는 조건으로 총 400억 달러 이상의 투자를 약속받았다. 인도네시아는 지난 2022년 JETP가 성사되면서 기존 목표 시기보다 10년 앞당겨진 2050년까지 탄소중립을 달성하기로 했다. 지원을 받은 국가들은 석탄발전 폐지와 재생에너지 확대는 물론 정의로운 전환을 통해 탈석탄의 영향을 받는 근로자와 지역사회 보호, 광산 부지 용도 변경, 양질의 녹색 일자리 창출을 위한 기술 혁신 등을 마련해야 한다.
남아공은 석탄 발전소 폐쇄 목표를 둘러싼 정부 내 일련의 정치적 분열과 그로 인한 절차적 지연으로 JETP의 지원금 지급이 미뤄져왔다. 특히 지난 6월에는 세계은행 산하 기후 투자 기금(CIF)에 석탄 화력 발전소 3기를 당초 합의한 대로 폐쇄하지 않고 2030년 말까지 용량 이하의 낮은 가동률로 유지하겠다고 제안한 바 있다.
그러나 지난 8일 남아공의 전기에너지부 장관 크고시엔초 라목고파가 직접 나서 “공격적"인 속도로 재생에너지 보급을 확대할 계획이라고 밝히고, 광물자원부와 에너지부를 분리해 내각 구성에서도 에너지와 석탄을 분리하는 등 남아공 정부가 석탄 발전 폐지와 재생에너지 확대를 위한 적극적 행보에 나섰다는 분석이다. 남아공 정부의 구체적인 석탄발전소 폐쇄 계획과 에너지 정책은 오는 10월 CIF에 제출될 예정이다.
관련기사
- 남아공, 재생에너지 보급 드라이브…“비중 급증할 것"
- "35년 이후 석탄발전소 이용률 50% 미만...보상으로 조기 폐지 유도해야"
- [COP28] 기후클럽 공식 출범...개도국 탈탄소화 지원
- 독일, 아프리카 그린수소 생산에 6조 지원...'녹색 식민주의' 우려도
- 기후위기로 전세계 ‘비상’…G20 화석연료 감축 논의는 '빈손'
- "재생에너지 발전 급증에도 ‘25년까지 석탄 감축 제자리 걸음"
- 맥킨지 "아프리카 재생에너지 투자수익 최대 21%...미·유럽의 3~4배"
- 바베이도스 '자연부채스왑' 체결 임박... 3억달러 보증 확정
- 글로벌 금융기관들, 조기 폐쇄 석탄발전 '전환 크레딧' 발급 추진
- 콜롬비아, 탈석유경제로 전환 본격화…400억 달러 투자 계획
- 남아공 법원, 석탄발전소 건설 국민 건강권 침해 판결
- 미국 떠난 JETP, 일본·독일·영국 리더십 확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