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지막 남은 마안산 2호기도 내년 5월 폐쇄 예정
대만 정부, 탈원전∙재생에너지 확대 정책 기조 고수
높은 수입의존도와 중국 리스크로 전력공급 불안 우려

[ESG경제신문=김현경 기자] 대만 정부의 탈원전 정책 기조를 둘러싼 정치권의 논란 끝에 설계수명이 다한 마안산 원전 1호기가 지난 27일 폐쇄됐다고 블룸버그통신이 보도했다.
대만의 마지막 남은 원자력 발전소 마안산 2호기도 설계수명이 다하는 내년 5월 폐쇄를 앞두고 있다.
대만의 현 집권여당인 민주진보당은 전 차이잉원 총통 집권 당시 2025년까지 탈원전을 달성하고 천연가스 50%와 석탄 30%, 재생에너지 20%의 에너지 믹스를 달성하겠다는 목표를 세운 바 있다. 지난 5월 정식 취임해 4년 임기를 공식 시작한 라이칭더 총통도 이런 에너지 정책 기조를 유지하고 있다.
하지만 야당은 이러한 탈원전 정책 기조에 반발하며 원자력 발전소를 재가동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특히 자국의 세계 최대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업체 TSMC와 에너지 집약적인 반도체 산업을 유지하기 위한 에너지 안보가 대두되고, 중국과의 군사적 긴장이 고조되면서 중국이 물리적 봉쇄를 통해 대만의 에너지 공급을 차단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로우카본파워에 따르면 지난해 대만의 전력 발전 비중은 약 42%가 석탄, 40%가 천연가스로 구성돼있으며 대부분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이어 재생에너지가 약 12%, 원자력이 약 6%를 차지했다.
이런 가운데 대만 정부는 에너지 믹스에 원자력 발전을 포함하기 위해서는 원전 기술이 개선되어야 한다고 말한 바 있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줘룽타이 대만 행정원장(총리 격)은 지난 17일 기자들에게 “새로운 원자력 기술이 안전성과 핵폐기물 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이 기술이) 국제적으로 받아들여진다면, 우리는 그 문제를 논의하는 데 매우 개방적일 것”이라고 밝혔다. 아울러 대만 정부는 천연가스 사용을 확대하고 석탄 소비를 줄이는 데 집중할 것이라고 말했다.
"2025 재생에너지 목표 달성 힘들 것"
대만은 2050년 탄소중립 달성 목표를 지난 2022년 선포하며 재생에너지 발전 비중을 2025년까지 20%를 차지한다는 목표를 수립한 바 있다. 구체적으로 태양광 신규 설비용량은 최소 20GW, 해상풍력 발전은 5.7GW 추가하는 방안을 담았다.
그러나 탈원전 기조를 고수하겠다는 대만 정부의 계획을 놓고 대만의 전력 공급이 위기에 처할 수 있을 것이라는 우려의 목소리도 제기된다. 이같은 재생에너지 확대 계획의 실현 가능성이 낮다는 지적도 나온다.
영국의 이코노미스트지는 지난 5월 보도를 통해 대만은 지난 7년간 대규모 정전이 3번이나 발생하는 등 불안정한 전력 공급과 함께 주 전력 발전원인 LNG 공급을 위한 터미널 건설이 예정보다 늦어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S&P 글로벌 커머디티 인사이트의 가스, 전력 및 기후 솔루션 수석 애널리스트 쉬에 샨(Xue Shan)은 지난 2월 “단기적으로 대만은 2025년 목표 달성을 위해 계속 노력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큰 압박을 받고 있다"고 밝혔다.
샨 수석은 신규 태양광 패널 설치를 위한 대만의 토지 면적 부족과 해상풍력 발전 사업의 일부 프로젝트 취소 및 사업 지연으로 인해 2025년 재생에너지 목표를 달성하지 못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장기적으로 대만의 재생에너지 확대는 천연자원의 한계에 봉착해 있다. 대만의 토지 자원은 매우 부족하다"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 온난화로 원자력 발전도 차질…EDF, 원전 발전량 축소 예고
- 영국, 국영 재생에너지 개발 기업 출범…향후 5년간 107억 달러 투자
- 중국, 올해 상반기 석탄 발전 비중 59%... 동기간 사상 최저
- 이탈리아, 재생에너지 발전량이 처음으로 화석연료 넘었다
- 바이든, ‘원자력에너지 가속화법’ 서명...미국 원전 정책 전환 신호탄
- 세계 최초 '탈원전' 이탈리아, 35년 만에 원전 재도입 추진
- 영국 노동당, 청정에너지 강국 공약...대규모 육상풍력 발전 사업 추진
- 중국, 전세계 신규 재생에너지 발전용량 2/3 차지…석탄비중 역대 최저
- 재생에너지 ’30년 3배 확충하려면 연간 16.4% 증설해야
- RE100, 일본 정부에 "재생에너지 용량 2035년까지 3배 늘려라"
- 스위스, 신규 원전 건설 재개...“전력수급 장기 대책”
- 이탈리아, 탈원전 본격 시동...SMR 등 원전 신기술 허용 계획
- 美 바이든 정부, 미시간∙펜실베이니아 폐쇄 원전 재가동한다
- 대만, 日·필리핀에 재생에너지 발전소 만들어 해저 수입 추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