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00개 이상 재생에너지 사업 무결성 평가 결과
MSCI, ICVCM 새로운 재생에너지 사업 평가 방법론 검토
재생에너지 탄소 크레딧 생존 가능성 여전
[ESG경제신문=이신형기자] 재생에너지 기반 탄소 크레딧의 무결성 문제가 도마에 오른 가운데, ESG 평가기관인 MSCI가 1700개 이상의 재생에너지 사업을 대상으로 실시한 무결성 평가에서 5점 만점에 3점 미만을 맏은 사업이 87%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련기사
- ICVCM, 재생에너지 사업 탄소 크레딧 추가성 결여... 고품질 라벨 ‘부적격’
- 유엔, 탄소 크레딧 사용 탄소 상쇄 반대
- ICVCM, 원주민·지역사회 참여하는 포럼 출범시켜..."권리∙이익 반영"
- SBTi, '스코프3' 탄소 크레딧 사용 지침 연내 제정 촉구 받아
- 자발적 탄소시장 새 시대 열리나...탄소 크레딧 질 'UP'
- ICVCM, 2700만톤 규모 탄소 크레딧에 처음으로 CCP 라벨 부여
- “SBTi 보고서 탄소 크레딧 사용 불허 시사”
- 세계 탄소제거 산업, 공급 과잉…800여개 스타트업 폐업 위기 직면
- 아마존, 새 자발적 탄소시장 인증 프레임워크 구축...“시장 혼란 우려”
- 탄소제거 크레딧 시장, “‘30~35년 연간 1000억달러로 성장 가능”
- 미국 전선 제조 스타트업 6000만달러 투자 유치...전력망 관심 반영
- 구글, 에너직스와 재생에너지 조달∙확대 위한 장기 협업 체결
- 독일 실시간 전력 가격 한때 마이너스 기록...재생에너지 영향
- 빅테크 기업들, ‘언번들 REC’ 구매로 배출량 감축 눈속임?
- 주요국 금리 인하, 재생에너지 산업에 긍정적 영향 전망
- 베라, 부실 온실가스 감축 사업자‧검증기관에 강경 대응...인증 거부하고 제재 조치
- 토탈에너지스, 1억달러 규모 탄소 상쇄 사업 계약 체결
- MS, 싱가포르서 20년 간 태양광 전력 구매계약 체결
- 아마존‧어스펀드, 자발적 탄소시장 영향력 행사에 우려감 확산
- MSCI, VCM 탄소 감축 프로젝트 평가 착수
- 미국 CFTC, 자발적 탄소시장 사업자 상대 첫 '사기' 소송 제기
- COP16서 '생물다양성 크레딧' 둘러싼 논쟁 가열
- 탄소 크레딧 공급 초과...양질의 탄소 크레딧 공급은 부족
- IOSCO, 자발적 탄소시장 무결성 기준 제시
- MSCI가 선정한 2025년 ESG 6대 트렌드 뜯어보니
- 정부, 중소기업 탄소 크레딧 시장 개설 논의...공공 인증 하이브리드 시장
- 셸, ‘24년 탄소 크레딧 최다 매수 기업...MS 2위
- 삼성전자·SK·대한항공, 구매한 크레딧 감축실적 "제로"
- 대한상의 탄소감축 인증 논란, “신뢰성‧추가성 면밀히 검증해야"
- “비싼 탄소 제거 크레딧 구매 능사 아냐”...가격이 무결성 보장 못해
- ICVCM CCP 라벨과 CORSIA 적격 탄소 크레딧 비교해 보니
- 베라, 6개 탄소감축 방법론 CCP 라벨 승인 받아
- 프랑스 탄소 크레딧 사용 지침 마련..."고품질 크레딧으로 제한"
- 지속가능발전에 기여하는 탄소 크레딧은?
이신형 기자
shlee@esgeconomy.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