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EU 온실가스 배출량 작년 8% 줄여…감축 속도 한국의 2배

  • 기자명 김연지 기자
  • 입력 2024.11.04 16:27
  • 수정 2024.11.05 09:46
  • 댓글 0

SNS 기사보내기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유럽환경청(EEA), '30년 55% 감축 달성 청신호
전기 생산 및 난방 배출량은 24% 감소
한국 배출량 6억 2450만톤, 4.6% 감축

사진=픽사베이 제공 
사진=픽사베이 제공 

[ESG경제신문=김연지 기자] 적극적인 재생에너지 보급 정책이 효과를 발휘하면서 유럽연합(EU)이 지난해 온실가스 배출량을 전년대비 8% 감축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2020년 코로나 팬데믹 이후 가장 큰 폭의 감축 실적이다.  

블룸버그는 지난 31일(현지시각) 유럽환경청(EEA) 발표를 인용해 이같이 보도했다. EU 집행위원회는 1990년 대비 지난해 배출량이 약 37% 감소했으며, 같은 기간 국내총생산(GDP)은 68% 증가했다는 점을 고려할 때 온실 배출량과 경제성장률 사이의 연관성은 사실상 해소됐다고 진단했다. 

EU 집행위원회 기후행동 및 에너지 대변인인 팀 맥피는 "이러한 흐름이 유지된다면 2030년까지 배출량을 최소 55% 감축한다는 목표 달성 경로에 있다는 것"이라면서 "이런 긍정적인 결과는 특히 재생 에너지원의 성장에 힘입은 바가 크다"고 블룸버그에 말했다. 

특히 전력 생산 및 난방 부문의 배출량은 2022년 대비 24%나 감소했다. 지난해 재생에너지 발전량은 EU 전체 전력 생산량의 약 45%를 차지했다.  같은 기간 EU의 습지와 숲 등 자연적 탄소흡수원 면적은 약 8.5% 증가했다. 

위원회에 따르면 건물 부문의 배출량은 약 5.5% 감소했고, 농업 부문의 배출량은 2% 감소했다. 교통 부문의 배출량은 1% 미만의 감소세를 기록했다.

비영리단체 에너지 및 청정 대기 연구 센터(Centre for Research on Energy and Clean Air)의 분석가인 이삭 레비는 올해 1~3분기 EU의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전년 동기 대비 9% 추가 감소했다고 블룸버그에 밝혔다.

그는 "배출량 감축량의 대부분은 재생에너지 발전의 확대와 태양광 및 풍력을 중심으로 한 새로운 설치 용량의 증가 때문"이라면서 "이로 인해 석탄과 가스 발전이 감소했다. 철강 생산을 포함한 다른 부문의 석탄 소비도 감소했다"고 말했다. 

이러한 감소로 인해 EU의 세계 배출량 기여도는 1990년의 15%에서 지난해 6%로 크게 감소했다. 그러나 1인당 배출량은 여전히 세계 평균인 6.59톤보다 높은 7.26톤이다.

한편 지난해 국내 온실가스 총배출량은 6억 2420만 톤으로, 전년 6억 5450만 톤보다 4.6% 감소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ESG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기사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하단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