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일, 일본, 싱가포르, 스페인 등 37개국 협약 참여...당초 알려진 4개국보다 증가
재생에너지 3배 협약 연장선...'30년까지 에너지 저장 용량 '22대비 6배 증가 목표
![기후변화협약 제29차 당사국 총회(COP29)가 열리고 있는 아제르바이잔 바쿠 회의장 모습. [EPA=연합뉴스]](https://cdn.esgeconomy.com/news/photo/202411/8870_12483_3756.jpg)
[ESG경제신문=김연지 기자] 제29차 유엔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9)에서 에너지 저장 및 그리드 협약에 서명한 국가가 당초 알려진 4개국에서 37개국으로 크게 늘어난 것으로 알려졌다.
기후 싱크탱크 기후솔루션은 COP29가 진행되는 아제르바이잔 바쿠 현장에서 에너지 저장 및 그리드 협약 가입 진행상황에 정통한 소식통을 통해 이같은 사실을 확인했다고 전했다.
아직 해당 국가들과 유엔기후변화협약(UNFCCC)의 공식 발표는 나오지 않은 상태다.
재생에너지 산업 연합 GRA(Global Renewables Alliance)에 따르면, 이번 COP29에 제안된 에너지 저장 및 그리드 협약은 2030년까지 에너지 저장 용량을 2022년 대비 6배(1500GW)로 늘리고, 2024년까지 8000만 km 길이의 전력망을 추가 또는 개조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에 앞서 주요7개국(G7)은 지난 4월 이탈리아 토리노에서 열린 G7 기후·에너지·환경장관 회의에서 자국의 에너지 저장 용량 설비를 2022년 기준 6배 늘리는 데 합의한 바 있다.
에너지 저장 및 그리드 협약은 재생에너지 3배 확대 협약의 연장선에 있다. 지난해 개최된 COP28에서 약 200개국은 2050년까지 에너지 분야에서 넷제로를 달성하기로 합의했으며, 풍력과 태양광과 같은 재생에너지 용량을 3배로 늘리기로 한 재생에너지 협약에 서명했다.
그러나 햇빛과 바람을 발전원으로 하는 재생에너지의 경우, 지속적인 발전이 어렵고 해가 없는 밤이나 바람이 불지 않는 때는 발전이 멈추는 간헐성 문제가 제약 사항으로 지적돼왔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발전량이 많은 때는 전기를 저장해두고 발전이 끊기는 시기에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배터리 시스템의 확보가 시급한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IEA 역시 보고서에서 용량 확대 자체만으로는 화석 연료 소비를 줄이고 소비자들의 에너지 비용을 절감할 수 없다면서 전력망 확대와 에너지 저장시스템(ESS)의 발전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IEA는 "(재생에너지)3배 목표의 모든 이점을 활용하려면 국가들은 2030년까지 2500만 킬로미터의 전력망을 건설하고 현대화하기 위한 협력적인 추진을 해야 한다"면서 “세계는 또한 2030년까지 1500기가와트(GW)의 에너지 저장 용량이 필요할 것"이라고 제언했다.
한국 정부는 에너지 저장 및 그리드 협약에 참여의사를 밝히지 않은 상황이다.

관련기사
- 한국, COP29서 에너지 저장 및 그리드 서약 불참
- 한국, '오늘의 화석상' 1위 불명예…OECD 공적금융 화석연료 제한 반대탓
- G20, 기후재원에 미약한 합의…교착상태 빠진 COP29에 한줄기 희망
- COP29 개막, 주요 의제…“재생에너지 시험대 오른 한국"
- 한국, COP29서 유기성 폐기물 메탄 감축 서약 참여
- 일본, ‘40년까지 재생에너지를 최대 발전원으로 육성
- COP29 폐막… 기후재원, ’35년까지 매년 1.3조 달러 마련
- 정부, 에너지 저장 협약 서명했지만…'30년까지 ESS 6배 확대 못해
- 미국서 3분기까지 신설된 발전 시설의 64%가 태양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