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전 실무협상 단계서 미약한 합의 도달...정상회담 이후 공식성명 발표
글로벌 기후재원 지갑 쥔 G20...COP29 NCQG 합의에 긍정 영향 기대
실무협상서 공여국의 범위 대립 지속...선진국, "부유한 개도국도 부담해야"

[ESG경제신문=김연지 기자]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에서 18일부터 양일간 개최되는 주요20개국(G20) 정상회담을 앞두고 G20이 기후재원에 대해 미약한 수준이나마 합의에 도달했다고 로이터가 18일 보도했다.
소식통은 G20 국가들이 아제르바이잔 바쿠에서 진행중인 제29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9)에서 합의되지 못했던 기후재원에 대해 합의에 도달했다고 말했다. 하지만 그는 이번 합의에 대해 불안한 합의라고 평가했다.
이같은 합의는 정상회담을 앞둔 사전 실무협상에서 이뤄졌으며, 향후 정상회담을 거쳐 공식성명으로 발표될 수 있다.
글로벌 기후재원 조달에 지갑을 쥐고 있는 G20이 기후재원에 대한 합의에 도달함에 따라 교착상태에 빠진 COP29의 신규 기후재원 조성목표(NCQG) 합의에 활기를 불어넣을 수 있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COP29에서 당사국들은 2025년까지 연간 최소 1000억 달러 이상의 NCQG를 수립해야 한다. 하지만 개도국들은 공공재원으로 연간 1조 달러, 민간재원 등으로 추가 5조 달러의 지원이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이번 G20 정상회담 사전 실무협상에서는 기후재원 공여국의 범위에 대한 논의가 가장 치열했다는 얘기가 흘러나온다. 협상에 참여한 4명의 외교관들은 로이터에 “기후재원에 대한 합의를 하며 익숙한 어려움에 빠졌다”면서 선진국들은 기후위기를 해결하기 위해 부유한 개발도상국이 자금을 지원하길 원했지만, 개발도상국은 선진국들의 비용 부담을 주장했다고 말했다.
현재 유엔기후변화협약(UNFCCC)이 분류하고 있는 개발도상국은 국제사회에서의 기후재원 출연 의무가 없다. 한국과 중국, 인도 등이 이에 해당한다. 그러나 해당 분류가 이뤄진 교토의정서(1997) 당시에 비해 현재 1인당 국민소득과 온실가스 배출 규모에 큰 변화가 있어 기후재원 조성에 달라진 역할이 요구될 수 있다.
UNFCCC 사무총장 사이먼 스틸은 G20 사전협상이 진행중이던 지난 16일 G20 지도자들에게 서한을 보내 개발도상국에 대한 보조금을 늘리고 다자개발은행(MDB)의 자금 확대를 진전시키는 것을 포함한 기후 재정에 관해 조치를 취할 것을 촉구했다.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 역시 "세계의 이목은 자연스럽게 G20에 집중되고 있다. G20 국가들은 전 세계 온실가스 배출량의 80%를 차지한다"면서 "지금은 세계 최대 경제국이자 배출국들이 모범을 보여야 할 때”라고 말했다.
한편 이번 G20 정상회담의 공식 주제는 '정의로운 세계와 지속 가능한 지구 구축'이다.
이번 G20 정상회담을 개최하는 브라질 정부는 사회적 포용과 지속 가능한 에너지 전환을 촉진하기 위한 논의를 비롯해 '기아와 빈곤 퇴치 글로벌 동맹' 결성을 위한 별도 세션 등 일정을 소화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유엔, 국제통화기금(IMF), 세계은행(WB), 세계무역기구(WTO) 등 주요 국제기구 현대화 방안을 모색하는 글로벌 거버넌스 개혁도 이번 정상회의 의제 중 하나로 제시됐다.
관련기사
- 영국, 새로운 기후 대응 주도…COP29서 적극 행보
- 다자개발은행 10곳, '30년 기후금융 1200억불 조달 계획
- "트럼프 정부, 미국의 기후위기 대응 멈추지 못할 것"
- COP29 개막, 주요 의제…“재생에너지 시험대 오른 한국"
- COP29부터 파리협정까지...트럼프 당선이 기후 대응에 미치는 영향은?
- COP29 개막 D-4...중국 등 BASIC 그룹, 기후 관련 무역제재에 반발
- 트럼프 당선되면 美 배제하고 기후행동 협력 추진...중국 주도 가능성
- 유엔기후변화협약, '손실과 피해기금' 지급 토대 마련...첫 이사 선출
- 중국, 글로벌 기후금융 주도권 쥐나…"EU와 협력 기회"
- COP29 에너지 저장 및 그리드 협약 37개국 참여
- COP29 폐막… 기후재원, ’35년까지 매년 1.3조 달러 마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