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운 석탄광산 건설 금지 정책 발표...광부들 연금 인상하고 재취업 지원
개도국에 3억달러 기후관련 대출보증 제공 등 다양한 기후금융 지원 약속
스티머 총리 "영국이 새로운 기후리더십 보여야...COP29서 분명한 메세지"

[ESG경제신문=김연지 기자] 지난 11일 개막한 제29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9) 기간동안 영국이 신규 석탄 광산 건설 금지, 개발도상국을 위한 금융 지원 약속 등을 발표하며 적극적인 기후대응 정책을 펼치고 있다. 주요국 정상으로는 유일하게 COP29에 참석한 영국 키어 스티머 총리는 취임 이후 다양한 기후대응 정책을 시행하면서 “기후 리더십”을 보이고 있다.
마지막 석탄화력발전소 폐쇄 이어 신규 석탄 광산 건설 금지
영국 정부는 지난 14일 성명을 통해 새로운 석탄 광산 건설이 금지될 것이라고 알렸다. 성명에서 정부는 “새로운 석탄 광산에 대한 허가를 제한하는 새로운 법안을 최대한 빨리 도입할 것”이라면서 “전세계적으로 에너지 관련 이산화탄소 배출의 가장 큰 원천으로서 석탄의 단계적 폐지는 기후 변화에 대처하고 지구 온도 상승을 1.5C로 제한하는 데 중요”하다고 말했다.
국제에너지기구(IEA)에 따르면, 석탄은 이산화탄소 배출의 주범으로 2022년 연료 연소로 인한 배출량의 45%를 차지하며 33%를 차지한 석유를 앞질렀다. 2022년 기준 전체 에너지 공급량의 28%를 차지한 석탄은 여전히 석유 다음으로 많은 에너지 공급원 중 하나다. IEA는 2022년 보고서에서 에너지 부문의 탈석탄 전환을 위해 2050년까지 약 10조 달러의 투자가 필요할 것으로 추정했다.
영국은 지난 9월 영국의 마지막 남은 석탄화력발전소인 랫클리프온소어(Ratcliffe-on-Soar) 발전소를 폐쇄하는 등 석탄 의존도를 적극적으로 줄여왔다. 2012년까지 석탄은 영국 전력 공급의 약 40%를 차지했다.
영국은 수십 년 동안 국가에 힘을 실어준 사람들이 마침내 노동의 정당한 보상을 받을 수 있도록 12만 명의 전직 광부들의 연금을 32% 인상하는 안을 내놓는가 하면, 청정 에너지 일자리 사무소를 설립해 석탄 발전 노동자들의 재교육과 재취업을 돕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한편, 영국은 이번 COP29에서 개발도상국에 대한 다양한 금융 지원을 약속하기도 했다. 지난 14일 발표된 성명에 따르면 영국 정부는 ▲콩고 분지의 열대우림 보호를 위한 910만 파운드 제공 ▲개발도상국들의 개발협력을 위해 설립된 영국의 금융 기관 British International Investment(BII)을 통한 1억 파운드의 공공 자금 제공 및 최대 5억 파운드의 민간 자금 투입 ▲아시아개발은행 등 다자개발은행 등이 참여한 IFCAP(Infrastructure for Climate Adaptation Program) 이니셔티브에 2억 8천만 달러(약 2억 2천만 파운드) 규모의 기후 관련 대출 보증 제공 등을 약속했다.
스티머 총리, “영국이 기후 리더십 보일 것”
영국 정부는 지난 12일 COP29에서 2035년까지 국가 온실가스 배출량을 1990년 대비 81% 감축한다는 차기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를 발표했다. 정부 성명에 따르면 영국은 현재 64만 개의 녹색 일자리가 있으며, 녹색일자리 증가세는 영국 전체 고용 증가 속도보다 4배 빠른 속도를 보이고 있다.
블룸버그의 지난 12일 보도에 따르면, 스티머 총리는 COP29 참석을 위해 기내에서 진행한 기자 간담회에서 “기후변화에 대해 영국이 리더십을 보여야 한다고 거듭 강조해왔다”고 밝혔다. 그는 COP에 참석하는 것은 "중요한 의무"이자 "영국에 큰 기회"라고 말했다.
이어 그는 12일 성명을 통해 "새로운 기후 리더십은 영국"이라고 강조하면서 "런던은 세계 최고의 글로벌 녹색 금융의 중심지로 자리매김하고 있으며 이번 COP에서 영국은 글로벌 리더로서 분명한 메세지를 보내고 있다"고 강조했다.
올해 COP29에는 미국의 조 바이든 대통령, 독일의 올라프 숄츠 총리, 프랑스 에마뉘엘 마크롱 대통령 등 주요국 정상들이 참석하지 않았다. 유럽연합(EU)의 우르줄라 폰 데어 라이언 집행위원장과 브라질의 룰라 다 실바 대통령도 COP29 불참석 의사를 밝혔다.
스티머 총리는 지난 7월 취임 이후 지금까지 ▲육상 풍력 금지 정책 폐지 ▲신규 북해 석유 및 가스 신규 허가 중단 ▲약 2GW 규모의 태양광 프로젝트 승인 ▲탄소 포집 활용 및 저장기술(CCUS) 및 수소 개발 프로젝트에 최대 217억 파운드 자금 지원 ▲국영 재생에너지 개발 기업 그레이트 브리티시 에너지(Great British Energy)에너지 출범 등의 적극적인 기후대응 정책을 구사했다.
관련기사
- 다자개발은행 10곳, '30년 기후금융 1200억불 조달 계획
- 영국, '35년까지 국가 온실가스 배출량 81% 감축 계획
- 미·일, ADB 기후금융에 첫 국가보증...기후대출 72억달러까지 확대
- COP29 개막, 주요 의제…“재생에너지 시험대 오른 한국"
- COP29부터 파리협정까지...트럼프 당선이 기후 대응에 미치는 영향은?
- 영국, 장주기 에너지 저장 사업자에 최저 수익 보장
- 영국, 향후 25년간 탄소 포집ㆍ수소기술에 284억 달러 지원
- 英, G7 최초 석탄 화력발전 종료…142년만에 역사의 뒤안길로
- [강찬수의 에코인사이드] 국제환경회의장, 이기심과 이타심이 교차하는 곳
- G20, 기후재원에 미약한 합의…교착상태 빠진 COP29에 한줄기 희망
- 중국, 글로벌 기후금융 주도권 쥐나…"EU와 협력 기회"
- 영국, 가정 히트펌프 전환 가속화...예산 2배 증액
- [COP29 결산] 녹색 디지털 행동 선언 68개국 지지...데이터 센터 전력 수요 어쩌나
- 주요국 2035 NDC 제출 기한 넘겨...9월로 기한 연장
- 영국, 전환금융위원회 출범…전환금융 자금 조달 확대 목표
- 英-中, 에너지 협력 모색…3월 에너지 장관 회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