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실과피해기금 이사회, 첫번째 상무이사 선출
지난 7월엔 이사회 개최국으로 필리핀 선정
COP29 의장단, "내년 최초 기금 지급 토대 마련"

[ESG경제신문=김현경 기자] 기후변화로 인한 개발도상국의 피해를 선진국이 보상하는 ‘손실과 피해기금’의 본격적인 운영과 지급을 위한 기초적인 거버넌스가 확립됐다.
유엔기후변화협약(UNFCCC)은 보도자료를 통해 손실과 피해기금 이사회(FRLD)가 기금 사무국을 이끌어나갈 최초의 상무이사(Executive Director)를 선출했다고 21일 밝혔다. 이사회는 지난 7월엔 기금의 본거지이자 이사회 개최국으로 필리핀을 선정한 바 있다.
신규 선출된 상무이사는 이브라히마 치크 디옹(Ibrahima Cheikh Diong)으로, 미국과 세네갈 복수국적의 기후변화 및 개발금융 전문가다. 현 아프리카 경제 개발을 위한 아랍은행(BADEA)에서 ESG부문 특별대표를 맡고 있으며, 오는 11월부터 4년 임기를 시작할 예정이다.
이를 두고 제29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9) 의장단은 이날 보도자료를 통해 손실과 피해기금 이사회가 기금의 본격적인 운영을 위한 중요한 결정을 내렸다며, “내년에 최초로 기금을 지급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게 되었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의장단은 오는 11월 아제르바이잔 바쿠에서 개최되는 COP29에서 선진국들의 기금 출연 약속을 실질적인 자금으로 전환해 기금이 필요한 지역사회에 지급할 수 있도록 하고, 기금의 추가 공여를 요청할 것이라고 밝혔다.
현재 총 8억달러 집계... 국내도 700만달러 공여
손실과 피해기금(Loss and Damage Fund)은 홍수와 가뭄 등 기후변화로 인한 개발도상국의 피해를 선진국이 보상하기 위한 기금으로 지난해 COP28에서 공식 출범했다. 기금의 규모와 공여 대상, 운영 방식 등에 대한 합의가 계속 불발되면서 관련 논의가 시작된지 30년 만에야 기금이 설립됐고, 세계은행(World Bank)이 최초 4년간 기금 운영을 맡기로 했다.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현재까지 손실과 피해기금은 아랍에미리트(UAE)와 독일, 프랑스 등 19개국의 출연 약속으로 총 7억 9200만달러(1조 574억원)가 집계됐다. 한국은 지난해 COP28 폐막 당시까지 기금 출연 계획을 밝히지 않았으나, 지난 7월 인천 송도에서 개최된 제2차 손실과 피해기금 이사회 회의에서 700만달러(93억 4600만원)를 신규 출연했다.
그러나 전문가들에 따르면 2030년 개도국의 기후 관련 누적 손실과 피해 비용은 최소 2900억달러(약 387조원)에서 최대 5800억달러(약 774조원)으로 추산된다. 현재 약정된 기금 규모는 최소금액의 0.2% 수준으로 크게 모자란 실정이다.
관련기사
- OECD, 무역금융 화석연료 대출 제한 협의중…한국은 반대
- 미-중, COP29서 온실가스 감축 세션 공동 주최
- COP29, 기후금융이 뜨거운 감자…16개 그룹 의견 제각각
- 9월 美中 기후회담 예정…’35년 배출량 목표·기후자금 구성 논의
- EU, COP29서 ‘전환’ 후속조치 추진...기후금융 재원마련 촉구
- COP29 예비회담 '먹구름'… 개도국 기후금융 지원 등 이견 재확인
- OECD, 민간부문 석탄산업 투자 금지 추진
- EU 외교부 장관들, “화석연료 기업 기후기금 참여해야”
- 자연-부채 스왑 통해 1000억달러 확보 가능... 기후위기 대응에 활용
- 2024년 기후변화 최대 변수는..."트럼프 당선 가능성"
- 엘살바도르, 자연부채스왑으로 부채 줄여 렘파강 보존에 사용
- UN, "현 기후정책 유지하면 2100년 지구 기온 3.1℃ 상승"
- 생물다양성 COP16 종료… 보호 기금 마련 ‘미완의 숙제'로
- COP29 개막 D-4...중국 등 BASIC 그룹, 기후 관련 무역제재에 반발
- COP29 개막, 주요 의제…“재생에너지 시험대 오른 한국"
- 다자개발은행 10곳, '30년 기후금융 1200억불 조달 계획
- G20, 기후재원에 미약한 합의…교착상태 빠진 COP29에 한줄기 희망
- 한국, COP29서 유기성 폐기물 메탄 감축 서약 참여
- 기후취약국, 유엔서 국가신용등급 평가 기준 개편 촉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