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후 2년간 ISSB 업무 우선 순위는 S1과 S2 안착 지원
차기 공시 주제 바로 선정하지 않고 우선 연구과제로 선정
TNFD 자연자본공시 권고안 참고, 인권은 연구과제서 제외
통합보고프레임워크(IIRF) 사용 지원
[ESG경제신문=이신형 기자] 국제지속가능성기준위원회(ISSB)가 S1과 S2에 이은 새로운 ESG 공시 기준을 만들기 위한 연구과제로 ▲생물다양성 및 생태계, 생태계서비스 ▲인적자본을 선정했다.
관련기사
- 자연자본 손실 기업 재무적 위험 요인....KRX 상장사 자연자본 재무적 위험 노출 세계 9위
- 백태영 ISSB 위원, “자연자본 공시 기준, KSSB도 도입하게 될 것”
- 환경부, TNFD 자연자본 공시 가이드라인 연내 제시…국내 기준은 ISSB 기반으로
- TNFD, 320개 기관 자연자본 공시 약속...한국도 가이드라인 제공
- TNFD 자연자본 공시 확정안 살펴보니...ISSB 채택 가능성 커
- [ESG공시 표준화] ISSB S2 공시, 기후관련 물리적 ㆍ전환 리스크 공시 요구
- ISSB 이르면 4월 공시주제 추가 위한 연구과제 선정
- [ESG공시 표준화] ISSB S1 기준 살펴보니...투자자 관점 중요 정보 요구
- [ESG공시 표준화] ISSB, 공시기준 S1ㆍS2 확정 발표...'25년 첫 공시
- 한국지속가능성인증협회(KOSRA) 발족...“2천~3천명 전문 인력 필요”
- KSSB, “ESG공시 초안에 스코프3 포함… 의무화 여부는 의견 수렴 뒤 결정”
- 홍콩증권거래소, 기후공시 '26년부터 의무화…스코프3는 대기업만 적용
- [주간 ESG] 4월 마지막 주, 국내 ESG 공시기준 초안 공개 외
- KSSB 공시 초안 발표...지속가능성 정보와 재무제표 동시 공시해야
- KSSB, 기후관련 위험과 기회 공시 의무화...스코프3는 미정
- 국내 ESG공시 초안에 쟁점 사항들 빠져..."기업 입장 너무 의식" 지적 나와
- ISSB 기준과 EU ESRS 기준 상호운용성 가이던스 나왔다
- ISSB, ESG 정보 택소노미 발간
- 런던증권거래소 등 120개 기관, 각국에 ‘25년까지 ISSB 공시기준 도입 촉구
- ISSB, ESRS에 이어 GRI기준과도 상호운용성 강화
- ISSB ESG 공시기준 채택한 나라 전 세계 GDP 55% 차지
- 한국회계기준원, ISSB 교육자료 요약본‧번역본 제공
- ESG 공시기준 상호운용성 제고 노력 활발...TNFD‧EFRAG도 공동 자료 발간
- ESG 공시 2029년 의무화?...전문가들 "그 이전에 시행해야"
- TNFD, 산업별 자연자본 공시 가이던스 제시...416개 기관 TNFD 공시 약속
- COP 16 앞두고 떠오르는 '생물다양성' 트렌드 세가지
- 노르웨이 국부펀드, 日에 ISSB 부합 ESG 공시기준 도입 촉구
- TNFD 자연전환계획 공시 가이던스 초안 들여다 보니...이행전략 등 5개 주제 공시 요구
- 국내기업 TNFD 공시 미흡...재무영향‧자연자본 관련 지표·목표 공시해야
- 자연자본 공시 기업, 절반 이상 GRI 기준 사용
이신형 기자
shlee@esgeconomy.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