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배구조와 전략, 리스크 관리, 지표 및 목표의 4개 영역
사업보고서에 포함해 같은 시기에 공시할 것을 요구
공시 기간도 사업보고서와 동일해야...일부 1년 유예도
[ESG경제=이신형기자] 'S1'으로 불리는 '지속가능성 관련 재무정보 공시를 위한 일반 요구사항(General Requirements for Disclosure of Sustainability-related Financial Information)'은 투자자가 투자 판단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지속가능성(ESG 이슈) 관련 위험과 기회에 관한 공시 방법과 내용을 담고 있다.
관련기사
- [ESG공시 표준화] ISSB 기준, 영국‧캐나다‧일본 등 사용 고려...'상호운영성' 논의도 활기
- [ESG공시 표준화] ISSB, 공시기준 S1ㆍS2 확정 발표...'25년 첫 공시
- EU, ESRS 수정안 공개...ISSB 기준과 '상호운영성' 고려
- ISSB 기준에 맞게 CDP 기후공시 조정한다...'상호운영성' 강화
- ISSB, ESG 공시기준에 생물다양성ㆍ인적자원ㆍ공급망 인권 추가
- KSSB 설립해 한국형 ESG 공시기준안 마련
- [ISSB 서울 세미나] 파버 위원장, "금융 중대성 고수...스코프3 공시 1~2년 유예"
- [ESG공시 표준화] ISSB S2 공시, 기후관련 물리적 ㆍ전환 리스크 공시 요구
- [ESG공시 표준화] 호주, ‘24년부터 기후공시 의무화...ISSB 기준과 유사
- 정부, ISSB 공시기준 조기 도입에 신중...‘27년부터 ESG 공시 사업보고서에 통합 가능성
- [ESG공시 의무화] ISSB 기준, 금융중대성 채택해 "기후공시 소홀" 우려 제기
- [ESG공시 의무화] TCFD 기후공시 모니터링 업무 내년부터 ISSB로 이관
- [ESG공시 의무화] ISSB 기준 추정ㆍ가정 요구해 “법률 리스크 확대” 논쟁
- 싱가포르, ‘25년 ISSB 공시기준 의무화...“비즈니스 허브 경쟁력 유지 위해”
- IOSCO, ISSB 공시기준 승인...세계 130개 감독당국에 활용 요청
- ISSB 기준, ESG공시를 회계 영역으로...”재무제표 영향 화폐화해야“
- [ESG공시 의무화] 온실가스 배출량 공시 대상 확대 대비해야
- EU, 유연성 높인 ESRS 공시기준 확정..."ISSB와 상호운영성 확보“
- ESRS 기준 엄격한 중대성 평가 강조...외부 인증 요구
- IAASB, 글로벌 ESG공시 인증 기준 'ISSA 5000' 공개
- ESG공시 품질 확보위해 ‘인증 자격제도’ 도입 필요성 제기
- 영국도 ISSB 공시기준 채택...내년 6월 'UK SDS' 확정 발표
- 금융위, "ESG 공시기준 국내외 상황 균형있게 살펴 마련"
- 국내 기업 지속가능보고서 '속빈 강정'...ISSB 공시기준에 크게 미달
- 인스타 운영 국내 기업의 41%가 그린워싱 의심..."정유‧화학‧에너지 업종 심해”
- ISSB 다음 공시기준 우선순위 '갑론을박'...자연자본 vs 인적자원
- EU ESRS와 GRI '맞손'...높은 수준 상호운영성 확보
- ESG공시 의무화 시대..."한국도 개정 국제회계감사기준(ISA 720) 도입해야"
- 미국 캘리포니아주, 대기업 스코프 3 공시 의무화
- ESG 공시 논란 가열...그린피스 법정공시 도입 헌법소원
- ESG 공시 의무화 1~2년 연기 실효성은?
- [ESG경제 포럼] 공시 의무화 초기에는 “제재 최소화”...1분기 KSSB 초안 공개
- KB금융, ESG 정보와 재무정보 연계...ISSB 기준에 부합하는 공시 준비
- SEC 관계자들, 기후공시 '스코프3 완화' 가능성 시사
- “TCFD 기준 ESG 공시 고도화에 4년6개월 걸려”
- TCFD, "기후공시 시나리오 분석 법적 위험 크지 않다"
- [COP28] 400개 기관이 ISSB ESG 공시기준 지지
- [2023 ESG 결산] ② 법제화의 도도한 흐름... 투자는 주춤
- ISSB ESG 공시기준 번역본 공개..."수출 기업 ISSB 기준 숙지 필요"
- SEC 4월 기후공시 기준 확정 예정...스코프3 완화 가능성
- 공시기준 추가 제정보다 “기업 S1‧S2 공시 지원이 우선”...투자자들 ISSB에 요구
- 한국 간판 기업들, ISSB‧ESRS 기준 ESG 공시에 "신속 대응”
- 말레이시아, ISSB 기준 기반 ESG 공시 추진
- ISSB, 각국 ESG 공시기준 도입 지원...관할권 가이드 제공
- 국내 ESG 공시기준 초안 뜯어보니...ISSB 기준 기반, 기후공시부터 의무화
- ISSB, 추가적인 ESG 공시기준 연구과제로 자연자본‧인적자본 선정
- ISSB 기준과 EU ESRS 기준 상호운용성 가이던스 나왔다
- ISSB, ESRS에 이어 GRI기준과도 상호운용성 강화
- 노르웨이 국부펀드, 日에 ISSB 부합 ESG 공시기준 도입 촉구
- IFRS, 지속가능성 공시 중대성 평가 안내서 발간
- ISSB, "기업 인적자본 관련 위험에 투자자 관심 커져"
이신형 기자
shlee@esgeconomy.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