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수의 EU 진출 국내 기업도 공시 대상
[ESG경제=이신형기자] 유럽연합(EU) 집행위원회가 31일 확정한 ESRS 기준은 초안과 달리 공시 기업의 자체적인 중대성 평가를 통해 공시 항목과 내용을 기업이 결정할 수 있도록 자율성을 높였다.
관련기사
- EU, 유연성 높인 ESRS 공시기준 확정..."ISSB와 상호운영성 확보“
- [ESG공시 의무화] 온실가스 배출량 공시 대상 확대 대비해야
- ISSB 기준, ESG공시를 회계 영역으로...”재무제표 영향 화폐화해야“
- IOSCO, ISSB 공시기준 승인...세계 130개 감독당국에 활용 요청
- 싱가포르, ‘25년 ISSB 공시기준 의무화...“비즈니스 허브 경쟁력 유지 위해”
- [ESG공시 의무화] 핵심은 ‘사업보고서’와 통합...회계업계가 박수치는 이유
- ESG 관련 소송 피하려면..."컴플라이언스 구축하고 과한 약속 말아야"
- 정부, ISSB 공시기준 조기 도입에 신중...‘27년부터 ESG 공시 사업보고서에 통합 가능성
- [ESG공시 표준화] ISSB S2 공시, 기후관련 물리적 ㆍ전환 리스크 공시 요구
- [ESG공시 표준화] ISSB S1 기준 살펴보니...투자자 관점 중요 정보 요구
- [ESG공시 표준화] ISSB, 공시기준 S1ㆍS2 확정 발표...'25년 첫 공시
- IAASB, 글로벌 ESG공시 인증 기준 'ISSA 5000' 공개
- 국내서도 ESG공시 인증 '발등의 불’..."국제 흐름에 맞춰 준비해야”
- ESG공시 품질 확보위해 ‘인증 자격제도’ 도입 필요성 제기
- 영국도 ISSB 공시기준 채택...내년 6월 'UK SDS' 확정 발표
- 금융위, "ESG 공시기준 국내외 상황 균형있게 살펴 마련"
- 美 SEC, "4분기에 기후공시 기준 확정 목표...업계 의견 충분히 검토"
- 국내 기업 지속가능보고서 '속빈 강정'...ISSB 공시기준에 크게 미달
- '환경 모범국' 독일, "2045년 탄소중립 목표 달성 어려울 듯"
- EU ESRS와 GRI '맞손'...높은 수준 상호운영성 확보
- ESG공시 의무화 시대..."한국도 개정 국제회계감사기준(ISA 720) 도입해야"
- ESG 공시 논란 가열...그린피스 법정공시 도입 헌법소원
- EU 금융당국, 은행 최소자기자본비율 산정에 ESG 위험 적용
- EU, 산업별 ESG 공시 2년 유예...정유 등 8개 산업별 기준 제정 예정
- 브라질, ‘26년 ISSB 기반 ESG 공시 의무화
- SEC 관계자들, 기후공시 '스코프3 완화' 가능성 시사
- “TCFD 기준 ESG 공시 고도화에 4년6개월 걸려”
- 금융위원회, "ESG 공시 거래소 공시로 도입 검토"
- EU, SFDR 사회적 지표 공시 범위 확대
- [2023 ESG 결산] ② 법제화의 도도한 흐름... 투자는 주춤
- 정부, 자연자본 공시 지원...국내 공시기준 제정도 검토
- EU, 산업별 ESG공시 2년 유예안 유럽의회 법사위 통과
- IESBA, ESG 공시 인증 윤리기준 초안 공개..."글로벌 기준선 필요"
- 한국 간판 기업들, ISSB‧ESRS 기준 ESG 공시에 "신속 대응”
- 말레이시아, ISSB 기준 기반 ESG 공시 추진
- IBM, 기업 스코프 3 배출량 수집 시스템 출시
- ISSB, 각국 ESG 공시기준 도입 지원...관할권 가이드 제공
- SEC 기후공시 안착하려면...소송 등 '넘어야 할 산' 남아
- EU 의회, 산업별 ESG공시 도입 2년 유예안 승인
- ISSB 기준과 EU ESRS 기준 상호운용성 가이던스 나왔다
- “ESG 공시 인증 법과 제도 정비 시급...진도 늦어”
- ESMA, 모든 금융상품 지속가능성 정보 공시 권고
- EU EFRAG, 전환계획 공시 가이던스 내년 2분기 발표
- [ESG경제 포럼] "국내 기업 지속가능성 공시는 홍보 치중...의무화 늦추면 '코리아 디스카운트' 심화"
- IFRS, 지속가능성 공시 중대성 평가 안내서 발간
- EU 옴니버스 패키지 발표 앞두고 ESG공시 개편 논란
이신형 기자
shlee@esgeconomy.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