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 공시의 경우 ISSB 기준과 대부분 동일한 내용 공시
12개 기준, 82개 공시 항목, 114개 핵심성과 지표 제시
엄격한 중대성 평가 요구...EU 진출 국내 기업들에 적용
[ESG경제=이신형 기자] 유럽연합 집행위원회(EC)는 31일(현지시간) EU의 독자적인 ESG공시 기준인 ’유럽지속가능성공시기준(European Sustainability Reporting Standards, ESRS)‘을 확정했다고 발표했다.
관련기사
- 금융사, 증권인수 업무 탄소배출량 33% 반영 가닥
- 현대차, 공급망 탄소배출 8% 증가...전기차 전환을 중대성 1위 이슈로
- [ESG공시 의무화] 온실가스 배출량 공시 대상 확대 대비해야
- ISSB 기준, ESG공시를 회계 영역으로...”재무제표 영향 화폐화해야“
- 백태영 위원, “ISSB 공시기준은 IR 목적, 현 국내 보고서는 PR 치중"
- IOSCO, ISSB 공시기준 승인...세계 130개 감독당국에 활용 요청
- [ESG공시 의무화] 핵심은 ‘사업보고서’와 통합...회계업계가 박수치는 이유
- 정부, ISSB 공시기준 조기 도입에 신중...‘27년부터 ESG 공시 사업보고서에 통합 가능성
- [ESG공시 표준화] ISSB S2 공시, 기후관련 물리적 ㆍ전환 리스크 공시 요구
- [ESG공시 표준화] ISSB S1 기준 살펴보니...투자자 관점 중요 정보 요구
- [ESG공시 표준화] ISSB, 공시기준 S1ㆍS2 확정 발표...'25년 첫 공시
- ESRS 기준 엄격한 중대성 평가 강조...외부 인증 요구
- 기업 탄소집약도, ESG 평가점수와 상관관계 없어
- ESG공시 품질 확보위해 ‘인증 자격제도’ 도입 필요성 제기
- 영국도 ISSB 공시기준 채택...내년 6월 'UK SDS' 확정 발표
- 금융위, "ESG 공시기준 국내외 상황 균형있게 살펴 마련"
- 美 SEC, "4분기에 기후공시 기준 확정 목표...업계 의견 충분히 검토"
- 국내 기업 지속가능보고서 '속빈 강정'...ISSB 공시기준에 크게 미달
- '환경 모범국' 독일, "2045년 탄소중립 목표 달성 어려울 듯"
- ISSB 다음 공시기준 우선순위 '갑론을박'...자연자본 vs 인적자원
- EU ESRS와 GRI '맞손'...높은 수준 상호운영성 확보
- ESG공시 의무화 시대..."한국도 개정 국제회계감사기준(ISA 720) 도입해야"
- ESG 공시 논란 가열...그린피스 법정공시 도입 헌법소원
- EU 금융당국, 은행 최소자기자본비율 산정에 ESG 위험 적용
- EU, 산업별 ESG 공시 2년 유예...정유 등 8개 산업별 기준 제정 예정
- 브라질, ‘26년 ISSB 기반 ESG 공시 의무화
- 글로벌 투자자 94%, “ESG 공시 ‘그린워싱’ 소지 있다”
- SEC 관계자들, 기후공시 '스코프3 완화' 가능성 시사
- “TCFD 기준 ESG 공시 고도화에 4년6개월 걸려”
- 금융위원회, "ESG 공시 거래소 공시로 도입 검토"
- [2023 ESG 결산] ② 법제화의 도도한 흐름... 투자는 주춤
- 정부, 자연자본 공시 지원...국내 공시기준 제정도 검토
- EU, 유로7에 잠정 합의…타이어·브레이크 먼지 배출기준 도입
- EU, 산업별 ESG공시 2년 유예안 유럽의회 법사위 통과
- 한국 간판 기업들, ISSB‧ESRS 기준 ESG 공시에 "신속 대응”
- 말레이시아, ISSB 기준 기반 ESG 공시 추진
- ISSB, 각국 ESG 공시기준 도입 지원...관할권 가이드 제공
- SEC 기후공시 안착하려면...소송 등 '넘어야 할 산' 남아
- EU 의회, 산업별 ESG공시 도입 2년 유예안 승인
- ISSB 기준과 EU ESRS 기준 상호운용성 가이던스 나왔다
- EU EFRAG, 전환계획 공시 가이던스 내년 2분기 발표
- IFRS, 지속가능성 공시 중대성 평가 안내서 발간
- EU 옴니버스 패키지 발표 앞두고 ESG공시 개편 논란
이신형 기자
shlee@esgeconomy.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