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월 26~29일 위원회 개최, 늦어도 상반기 내 결정
우선 연구과제로 선정하고 주제 확정은 추후 결정 가능성
생물다양성과 인적자본 중 하나 또는 모두 선정될 수도

[ESG경제=이신형기자] 국제지속가능성기준위원회(ISSB)가 이르면 4월 말 S1과 S2에 이은 새로운 공시 기준을 만들기 위한 연구과제를 선정할 것으로 알려졌다.
ISSB는 지난해 6월 ISSB는 ‘S1’으로 불리는 ‘일반적 지속가능성 관련 재무정보 공시 요구안(General Requirement for Disclosure of Sustainability-related Financial Information)'과 ’S2’로 불리는 기후 관련 재무정보 공시안(Climate-related Disclosure)을 확정 발표했다.
ISSB는 후속 S3, S4 공시 주제로 ▲생물다양성 ▲생태계와 생태계서비스 ▲인적자본 ▲인권 등을 염두에 두고 지난 9월 이해관계자를 대상으로 우선순위를 묻는 2개월 간의 의견 수렴 절차를 마쳤다.
ISSB 사정에 밝은 한 소식통은 3일 ESG 경제에 “공식적으로는 상반기 내 다음 공시 주제를 선정하는 것으로 돼 있으나 내부적으로 4월 열리는 회의에서 선정될 것이라는 견해가 우세하다”고 말했다. 그는 다만 “6월말까지로 미뤄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는 없다”고 덧붙였다.
그는 “당초 공시주제를 바로 선정하는 것으로 알려졌으나, 우선은 (공시주제를 정하기 위한) 연구과제로 선정하고 공시 주제는 추후 확정하는 방향으로 갈 것 같다”고 전했다.
이 소식통은 다음 공시주제 또는 연구과제로 생물다양성과 인적자본이 가장 많이 거론된다며 “둘 중 하나가 될 수도 있고 둘 다 선정될 수도 있다”고 밝혔다.
생물다양성과 관련, 이 소식통은 “사람에 따라 폭넓게 또는 좁게 해석하는데 ESG에서 기후를 제외한 환경을 포괄하는 개념으로 봐야 한다”며 “자연자본과 가깝다”고 설명했다.
의견수렴 결과 S1‧S2 정착이 가장 중요하다는 견해 지배적
인베스트먼트 앤 펜션 유럽(IPE)의 보도에 따르면 지난해 9월 실시된 의견수렴 과정에 참여한 들은 ISSB에 투자자들은 추가적인 공시 기준을 만드는 것보다 기업들이 S1과 S2에 따라 제대로 ESG 공시를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일에 우선 순위를 둘 것을 요구했다.
이 소식통은 “이런 의견이 가장 많았던 것은 사실”이라면서도 “기존 공시기준 정착은 (ISSB의) 기본 과제이기 때문에 새로운 공시주제를 위한 연구과제 선정까지 미룰 필요는 없다고 본다”고 말했다.
의견수렴 결과를 보면 투자자들은 전반적으로 ISSB 공시기준을 지지했으나, 일부는 수정이나 보완을 요구하기도 했다. 투자자들은 또한 S1과 S2를 분리된 주제로 받아들이지 않고 넓은 범위에서 하나의 지속가능성 공시기준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가적인 공시 주제 선정에 대해서는 견해가 엇갈렸으나, 투자자들은 ISSB가 제시한 4개의 주제 중 최소 1개의 공시 주제를 추가하는 것에 전반적인 지지를 보냈다.
ISSB 관할권 가이드 만들어 각국 공시기준 도입 지원
국제증권관리위원회기구(IOSCO)는 지난해 7월 ISSB의 ESG 공시기준을 승인하고 130개국 금융감독당국에 이 기준 도입을 권고한 바 있다.
지난해 11월 아랍에미레이트(UAE) 두바이에서 열린 제28차 유엔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8)에서는 기업과 투자자, 증권거래소, 회계법인, 비정부기구(NGO), 데이터 분석기관, 대학 등 400개에 가까운 기관이 국제지속가능성기준위원회(ISSB)의 ESG 공시기준 사용을 약속하거나, ISSB 기준 채택 확대를 지지했다.
또한 국제적으로 ISSB ESG 공시 기준 채택을 고려하는 나라가 늘고 있는 가운데 규제당국과 ESG 공시기준 제정 기관들의 지지도 이어졌다. 아세안 회원국과 브라질, 브루나이, 캐나다, 유럽연합(EU), 독일, 가나, 홍콩, 일본, 케냐, 모리셔스, 멕시코, 미안마, 나이지리아, 필리핀, 싱가포르, 튀르키예, 영국, 우르과이, 베트남 규제 당국이 이번 COP28에서 ISSB의 활동에 환영을 표했다.
ISSB는 ISSB 기준을 도입하거나, 이 기준을 활용해 ESG 공시기준을 만드는 나라의 규제 당국을 위해 기준 도입 가이드(jurisdictional guide)를 올해 상반기 안에 만들어 제공할 계획이다.
ISSB는 최근 이 관할권 가이드 미리보기 버전을 발표하며 이같이 밝혔다. 이 가이드는 올해 첫 발간되고 3년 후 개정될 예정이다. ISSB가 앞으로 ESG 공시기준을 현재의 ‘S1(일반적인 지속가능성 관련 재무정보 공시'와 'S2(기후 관련 재무정보 공시)'에서 생물다양성이나 인권 등으로 범위를 확대할 예정이서 관할권 가이드의 업데이트가 필요해서다.
ISSB는관할권 가이드 제공뿐 아니라 ISSB 기준을 채택하는 나라나 ESG 공시기준을 만들기 위해 ISSB 기준을 활용하는 나라의 규제당국이나 기준 제정기관에 대한 지원 활동도 펼칠 것이라고 밝혔다.
ISSB는 구체적인 지원 전략으로 ▲기준 적용의 유연성을 제공하는 비례성 메커니즘 ▲기업이 ISSB 기준을 적용해 공시하는 첫 해에 일부 기준 적용 유예 ▲각국 규제당국이 ISSB 기준 차용이나 활용을 지원하기 위한 관할권 가이드 발행 ▲교육 및 공시 역량 강화 프로그램 등의 추가적인 지원 등을 제시했다.
이중 비례성(proportionality) 메커니즘은 ESG 공시에 필요한 정보를 준비할 때 측정 등의 불확실성이 높은 정보에 대해서는 엄격한 정확성보다는 “합리적으로 이용 가능한 정보”의 활용을 허용하는 것을 뜻한다.
이를 위해 ISSB는 과도한 비용이나 노력이 필요치 않은 정보를 사용하도록 하는 한편, S1과 S2 공시에서 정량적인 지표 공시가 어려울 경우 정성적인 서술을 사용할 수 있도록 허용하고 있다.
또한 관할권 가이드에는 ISSB 기준의 단계적 도입과 같은 유연한 접근법에 대한 고려사항이 포함된다.
관련기사
- 싱가포르 '25년부터 기후공시 단계적 의무화 확정
- 미국 SEC, 기후공시에서 스코프 3 공시 제외 가능성
- 말레이시아, ISSB 기준 기반 ESG 공시 추진
- 호주 금융계, 당국에 ISSB ESG 공시기준 준수 촉구
- 중국, 기업 연차보고서와 동시에 ESG 공시 요구
- 한국 간판 기업들, ISSB‧ESRS 기준 ESG 공시에 "신속 대응”
- ISSB ESG 공시기준 번역본 공개..."수출 기업 ISSB 기준 숙지 필요"
- 정부, 자연자본 공시 지원...국내 공시기준 제정도 검토
- 금융위원회, "ESG 공시 거래소 공시로 도입 검토"
- 백태영 ISSB 위원, 국내 ESG 공시 인증 "IAASB 기준 채택 전망"
- [주간 해외 ESG] 캐나다, 두 번째 녹색채권 발행 개시...원전 투자도 포함
- 인도중앙은행, 금융기관 기후공시 의무화 발표
- 싱가포르, 기업 ESG 공시 지원제도 도입
- 환경부, TNFD 자연자본 공시 가이드라인 연내 제시…국내 기준은 ISSB 기반으로
- 캐나다, ISSB 기반 ESG 공시기준 CSDS 초안 발표
- 국내 ESG 공시 기준 스코프3 유예 가닥...SEC 보다 ISSB 기반으로
- 제1차 자연자본 공시 포럼: 환경부 외 공동주최
- 임상준 환경부 차관, "자연자본 공시 국제 규범 될 것"
- 백태영 ISSB 위원, “자연자본 공시 기준, KSSB도 도입하게 될 것”
- 일본, ISSB 기반 ESG 공시 기준 초안 공개
- 일본 ESG공시 기준안 스코프3 요구… 의무화 시점 논의 개시
- 자연자본 손실 기업 재무적 위험 요인....KRX 상장사 자연자본 재무적 위험 노출 세계 9위
- 브라질, ISSB 기반 ESG 공시 기준안 발표
- ISSB, 추가적인 ESG 공시기준 연구과제로 자연자본‧인적자본 선정
- 일본 실무그룹, ESG 공시 ‘27년부터 의무화 제안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