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영역

본문영역

[단독] 4개 경제단체 “ESG공시 의무화 2029년부터”...정부에 건의하기로

  • 기자명 김대우 기자
  • 입력 2024.06.24 15:17
  • 수정 2024.07.31 14:35
  • 댓글 0

SNS 기사보내기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기업 의견 수렴해 공식 입장 곧 전달 방침
스코프3 공시 반대, 공시시점 매년 6월로
정부 정책 목적 101호 추가 공시 "반대"

김병환 기획재정부 차관이 지난 4월 열린 '제3차 민관합동 ESG 정책협의회'를 주재, 모두 발언을 하고 있다. (제공=기획재정부)
김병환 기획재정부 차관이 지난 4월 열린 '제3차 민관합동 ESG 정책협의회'를 주재, 모두 발언을 하고 있다. (제공=기획재정부)

[ESG경제신문=김대우 기자] 금융위원회와 한국지속가능성기준위원회(KSSB)가 ESG 공시 의무화 초안을 지난 4월 말 공개하고, 각계의 의견을 수렴 중인 가운데 대한상공회의소 등 4개 경제단체는 “오는 2029년부터 공시 의무화를 시작하는 게 바람직하다”는데 뜻을 같이하고 이를 정부에 공식 건의하기로 했다.

4개 경제단체는 대한상의(회장 최태원)와 더불어 한국경제인협회, 한국경영자총협회, 한국상장회사협의회 등이다. 이들 단체는 최근 회원사들을 대상으로 공동 설문조사(자산 2조원 이상 125개사 응답)를 실시한데 이어 삼성전자, SK, 현대자동차, LG, 한화, 포스코, GS, 신세계, KB금융, 신한금융 등 주요 그룹들과 이 문제를 협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경제단체의 고위 관계자는 24일 ESG경제신문에 “재계의 의견이 ‘2028년 이후’ 공시 의무화로 모아졌다”며 “이를 토대로 ‘2029년부터 자산 2조원 이상 대기업들이 공시를 시작하는 쪽으로 공식 입장을 정해 정부에 전달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이는 문재인 정부가 지난 2021년 발표했던 '2025년 시작'  로드맵에 비해 4년 늦추자는 것이고, 윤석열 정부가 지난해 제시한 '2026년 이후' 일정과 비교해도 3년 유예하자는 것이다.

이 관계자는 또한 “스코프3(공급망 협력업체까지) 배출량 공시에 대해 재계는 ‘반대’ 입장을 정했다”며 “그 이유는 국내에 관련 데이터를 인증·검증할 시스템이 갖춰져있지 않아 현실적으로 불가능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ESG 공시 시점은 재무제표와 동시에 매년 3월로 하지 말고 6월로 해야 한다는데 뜻을 모았으며,  정부가 정책 목적을 고려해 추가로 요구한 출산장려 활동 등 제101호 조항 공시는 ‘국제적 정합성’에 맞지 않아 반대하기로 했다”고 덧붙였다.

제101호 조항은 ▶육아친화경영 확산을 위한 정보 ▶노동착취 예방을 위한 정보 ▶산업안전에 대한 정보 ▶종업원 다양성에 대한 정보 ▶부정경쟁방지에 대한 정보 ▶인권경영에 대한 정보 등을 말한다.

사업보고서와 통합 공시 또는 한국거래소 공시 등 공시 방법에 대해선 찬반이 엇갈려 아직 의견을 모으지 못한 상태라고 이 관계자는 설명했다.

설문 결과, 2030년 공시 의견 가장 많아

한편 4개 경제단체가 최근 실시한 ESG 공시제도 관련 조사를 보면, 응답 기업의 58.4%가 ESG 공시 의무화 도입 시기에 대해 2028년 이후가 바람직하다고 답했다. 연도별로는 2030년이 25.6%로 가장 많았고, 2028년 19.2%, 2029년 13.6% 등의 순이었다.

                                                자료=대한상의
                                                자료=대한상의

주요 그룹 별로는 SK, LG, 포스코, HD현대중공업, KB금융, 신세계 등이 2028년부터 공시하자는 의견을 냈고 삼성, 현대차, 한화, GS, 신한금융 등은 2029년부터 하는 게 바람직하다는 입장을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기업들이 원하는 ESG 공시 의무화 방향은 ▶거래소 공시(38.4%), ▶거래소 공시 후 사업보고서 공시로 전환(29.6%), ▶지금과 같은 자율공시(25.6%) 등으로 팽팽히 맞섰다.

또한 '스코프3' 배출량 공시에는 응답 기업의 절반 이상(56.0%)이 공시를 반대한다고 답했다. 유예 기간이 필요하다는 응답도 40%에 달했으며, 공시에 찬성한다는 응답은 1.6%로 극소수였다.

한편 세계 주요국들은 이미 ESG 정보공시 일정을 발표한 가운데 유럽연합(EU)이 2025년으로 가장 빠르고, 중국은 2030년으로 가장 늦다. 한국이 2029년으로 정하면 말레이시아나 브라질 보다도 늦어 중국과 더불어 ESG 공시에 가장 소극적인 국가 중 하나로 분류될 전망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ESG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기사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하단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