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 의견 수렴해 공식 입장 곧 전달 방침
스코프3 공시 반대, 공시시점 매년 6월로
정부 정책 목적 101호 추가 공시 "반대"

[ESG경제신문=김대우 기자] 금융위원회와 한국지속가능성기준위원회(KSSB)가 ESG 공시 의무화 초안을 지난 4월 말 공개하고, 각계의 의견을 수렴 중인 가운데 대한상공회의소 등 4개 경제단체는 “오는 2029년부터 공시 의무화를 시작하는 게 바람직하다”는데 뜻을 같이하고 이를 정부에 공식 건의하기로 했다.
4개 경제단체는 대한상의(회장 최태원)와 더불어 한국경제인협회, 한국경영자총협회, 한국상장회사협의회 등이다. 이들 단체는 최근 회원사들을 대상으로 공동 설문조사(자산 2조원 이상 125개사 응답)를 실시한데 이어 삼성전자, SK, 현대자동차, LG, 한화, 포스코, GS, 신세계, KB금융, 신한금융 등 주요 그룹들과 이 문제를 협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경제단체의 고위 관계자는 24일 ESG경제신문에 “재계의 의견이 ‘2028년 이후’ 공시 의무화로 모아졌다”며 “이를 토대로 ‘2029년부터 자산 2조원 이상 대기업들이 공시를 시작하는 쪽으로 공식 입장을 정해 정부에 전달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이는 문재인 정부가 지난 2021년 발표했던 '2025년 시작' 로드맵에 비해 4년 늦추자는 것이고, 윤석열 정부가 지난해 제시한 '2026년 이후' 일정과 비교해도 3년 유예하자는 것이다.
이 관계자는 또한 “스코프3(공급망 협력업체까지) 배출량 공시에 대해 재계는 ‘반대’ 입장을 정했다”며 “그 이유는 국내에 관련 데이터를 인증·검증할 시스템이 갖춰져있지 않아 현실적으로 불가능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ESG 공시 시점은 재무제표와 동시에 매년 3월로 하지 말고 6월로 해야 한다는데 뜻을 모았으며, 정부가 정책 목적을 고려해 추가로 요구한 출산장려 활동 등 제101호 조항 공시는 ‘국제적 정합성’에 맞지 않아 반대하기로 했다”고 덧붙였다.
제101호 조항은 ▶육아친화경영 확산을 위한 정보 ▶노동착취 예방을 위한 정보 ▶산업안전에 대한 정보 ▶종업원 다양성에 대한 정보 ▶부정경쟁방지에 대한 정보 ▶인권경영에 대한 정보 등을 말한다.
사업보고서와 통합 공시 또는 한국거래소 공시 등 공시 방법에 대해선 찬반이 엇갈려 아직 의견을 모으지 못한 상태라고 이 관계자는 설명했다.
설문 결과, 2030년 공시 의견 가장 많아
한편 4개 경제단체가 최근 실시한 ESG 공시제도 관련 조사를 보면, 응답 기업의 58.4%가 ESG 공시 의무화 도입 시기에 대해 2028년 이후가 바람직하다고 답했다. 연도별로는 2030년이 25.6%로 가장 많았고, 2028년 19.2%, 2029년 13.6% 등의 순이었다.

주요 그룹 별로는 SK, LG, 포스코, HD현대중공업, KB금융, 신세계 등이 2028년부터 공시하자는 의견을 냈고 삼성, 현대차, 한화, GS, 신한금융 등은 2029년부터 하는 게 바람직하다는 입장을 밝힌 것으로 알려졌다.
기업들이 원하는 ESG 공시 의무화 방향은 ▶거래소 공시(38.4%), ▶거래소 공시 후 사업보고서 공시로 전환(29.6%), ▶지금과 같은 자율공시(25.6%) 등으로 팽팽히 맞섰다.
또한 '스코프3' 배출량 공시에는 응답 기업의 절반 이상(56.0%)이 공시를 반대한다고 답했다. 유예 기간이 필요하다는 응답도 40%에 달했으며, 공시에 찬성한다는 응답은 1.6%로 극소수였다.
한편 세계 주요국들은 이미 ESG 정보공시 일정을 발표한 가운데 유럽연합(EU)이 2025년으로 가장 빠르고, 중국은 2030년으로 가장 늦다. 한국이 2029년으로 정하면 말레이시아나 브라질 보다도 늦어 중국과 더불어 ESG 공시에 가장 소극적인 국가 중 하나로 분류될 전망이다.
관련기사
- 대기업 58% "ESG 공시 의무화 '28년 이후로" vs. "미루는 게 능사 아냐"
- 중국 ’27년까지 ESG 공시기준 마련...‘30년 공시 제도 도입
- ISSB, ESRS에 이어 GRI기준과도 상호운용성 강화
- 일본 실무그룹, ESG 공시 ‘27년부터 의무화 제안
- 브라질, ISSB 기반 ESG 공시 기준안 발표
- 캐나다, ISSB 기반 ESG 공시기준 CSDS 초안 발표
- 싱가포르, 기업 ESG 공시 지원제도 도입
- ESG 공시 2029년 의무화?...전문가들 "그 이전에 시행해야"
- ESG 공시, “추정치에 대한 우려 지나쳐...추정 근거 명확히 밝히면 된다”
- [이신형 칼럼] ESG 공시 논란, 정보 이용자의 의견은 왜 묻지 않나
- [김광기 칼럼] ESG 공시 놓고 ‘민낯’ 드러낸 재계와 정부
- ISSB, 전환계획 공시 가이던스 제시...자연자본 공시기준 TNFD 권고안 활용
- 금융회사 '책무구조도' 내일 도입…"책무 겹치면 상급자에 배분"
- 국내 대기업, ESG공시 이중중대성 평가 91%...ESRS 선제적 대응
- "허위기재나 그린워싱 방지하려면 ESG 법정공시 도입해야“
- 캐나다 대형 연기금, 자국 ESG 공시기준 제정 기관에 ISSB 기준 준수 촉구
- 삼성전자 지속가능성 흔들리나...FT "인재 유출 위험” 지적
- 투자자 관점 ESG 공시 토론회 열린다...한은‧국민연금도 참여
- 국제적 정합성 갖춘 국내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 방식 연구...전문가 협의체 구성
- 국민연금 “국내 ESG공시 빨리 도입돼야…스코프3 의무화 필요”
- 장인화 포스코 회장, 중기중앙회 방문..."새로운 동반성장의 길 모색"
- 지속가능보고서 발간 상장사 17% 늘어...“ESG 공시 의무화 대비”
- 신한금융, 중소기업 일·가정 양립 지원 위해 100억원 출연
- 캘퍼스•NBIM 등 해외 투자자, KSSB 초안보다 강화된 공시기준 요구
- 민간 싱크탱크 등 ‘26년 기후공시 의무화 촉구...금융위, "대다수 기업 기후공시 공감"
- 현대차, WRC 중부 유럽 랠리, TCR 월드투어 중국 레이스 동반 우승
- 현대차, WRC 중부 유럽 랠리, TCR 월드투어 중국 레이스 동반 우승
- 금융위, ESG 공시 2029년으로 가닥...스코프 3 배출량 공시 유예

